논문 상세보기

벼에 대한 Ethylene의 생리작용에 관한 연구 제 7 보. 벼의 Ethylene 생성량 및 생합성의 품종간 차이 KCI 등재

Studies on Physiological Action of Ethylene in Rice Plant - Ⅶ. Varietal Differences of Ethvlene Evolution and Biosynthesis of Rice Seedl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23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특성이 다른 품종의 유묘기 에칠렌 생성량 및 함량의 차이를 구명하고, 또 메치오닌과 ACC 처리에 의한 에칠렌 생성량의 품종간 차이를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일본형, 품종군은 인도형 품종군 및 인·일교잡 품종군 보다 에칠렌 생성량이 많았다. 2. 에칠렌 생성량이 많은 일본형 품종군은 유아가 짧고 유근이 길었으나, 에칠렌 생성량이 적은 인도형 및 인·일교잡 품종군은 유아가 길고 유근은 짧았다. 3. 유묘의 ACC함량은 에칠렌 생성량이 많은 품종에서 많았다. 4. 유묘에 메치오닌 및 ACC를 처리하면 에칠렌 생성량은 증가하나 그 증가정도는 일본형품종이 인도형 및 인·일교잡품종보다 현저하게 많았다.

To know the varietal differences of ethylene evolution, 55 rice varieties were tested at seedling stage. And, also, 6 rice varieties were tested the biosynthesis of ethylene production. The group of japonica varieties produced higher amount of ethylene than the indica and indica x japonica crossed varieties. The content of ACC in rice seedlings of japonica varieties was higher than in seedlings of indica and indica x japonica varieties. And, also, the conversion rate of mathionine and ACC to ethylene in seedling of japonica varieties was higher than in seedling of indica and indica x japonica varieties.

저자
  • 李文熙 | 이문희
  • 太田保夫 | Yasuo, O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