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사료용 맥류 품종의 예취 시기별 청예 및 건물수량과 영양가 비교 KCI 등재

Forage and TDN Yield of Several Winter Crops at Different Clipping Dat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24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본 시험은 사료용 맥류의 예취시기별 청예 및 건물수량, TDN%, TDN 수량 등의 품종간 차이를 구명하기 위하여 호밀, 트리티케일, 밀, 보리 등 7개 품종을 공시하여 1983년 10월부터 1984년 5월까지 맥류연구소에서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0a당 청예수량은 4월 20일 채취시. 호밀2호가 929kg로 가장 많았으며 부농(보리), 수원229호(밀), 수원 8호, 수원 9호(트리티케일)의 2배 이상이었다. 4월 30일 예취시에도 호밀 2 호가 2,195 kg으로 가장 많아 타 작물의 2배 이상을 보였고 5월 10일 예취시도 3,506kg으로 가장 많았다. 5월20일 예취시에는 수원8호가 가장 많았다. 2. 10a당 건물수량은 시기가 경과할수록 증가하였으며 4월 20일, 4월 30일, 5월 10일 예취했을 때 호밀2호가 각각 119kg, 305kg, 539kg으로 가장 많았으며 5월 20일에는 호밀 1호가 790kg으로 가장 많았다. 3. 초장은 팔당호밀, 호밀 1호, 호밀2호의 경우 출수 이후까지 계속 증가하였으며 수원229호, 부농, 수원 8호, 수원 9호보다 월등히 컸다. 4. 건물률(건물중/생체중 100)은 시기가 경과할수록 증가하였으며 m2 당 경수는 팔당호밀이 많았고 수원9호가 적었다. 엽중비율은 수원8호, 수원9호가 높았는데 시기가 경과할수록 감소하였다. 5.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 함량은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가용무질소물, 조섬유 함량은 증가하였다. 또한 NDF, ADF, Lignin, Cellulose, Hemicellulose 등의 세포벽 구성물질도 증가하였는데 수원 8호와 부농이 비교적 양질로 나타났다. 6. TDN%는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 감소하였고 TDN 수량(건물수량 TDN%)은 증가를 나타냈는데 전시기를 통하여 볼 때 호밀2호, 호밀 1호, 팔당호밀 등 호밀 품종이 월등히 높았다. 7. TDN 수량과는 청예수량, 건물수량. 초장, 조섬유, Cellulose 등이 정상관을, TDN%, 엽중비율, 조단백 등과는 부상관을 보였다. 8. 수원지방에서 청예용 맥류의 예취시기는 5월10일~5월20일이 적합하며 5월10일 이전은 호밀 2호등 호밀이 5월20일 경은 수원8호 등 트리티케일이 적합한 것으로 생각된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know a substantial body of information about the differences of the important forage characteristics; green fodder yield, dry matter yield, TDN%, TDN yield and so forth of the seven cultivars selected as the forage crops (Rye, Triticale, Wheat and Barley) depending on the specific times of cutting stage, on the Wheat and Barley Research Institute from October, 1983 to June, 1984, and the results summarized as follows. Green fodder yield & dry matter weight, when clipped at 20, 30 April and 10 May, of varieties Homil #2 showed the most yielding capacity, but when clipped at 20 May, Suweon#8 (triticale) showed the most green fodder yield whereas Homil #1 the most significant dry matter weight. Plant height, in the cases of Paldanghomil, Homil #1 & Homil #2, showed distinctly longer than that of Bunong, Suweon #8 & Suweon #9 and continued to grow even after the heading date. Dry matter ratio increased with time (Dry matter yield/green fodder yield x100). TDN % decreased but TDN yield increased with time but Homil #1, Homil #2 and Paldanghomil showed relatively the higher values. In the elements of nutrient of cell wall, Suweon #8 & Bungong among 7 cultivars have good quality. The reasonable clipping date of wheat &barley as green fodder crops are 10 May to 20 May, but if clipped before 10 May and 20 May, Homil #2 and Suweon #8 became the promising forage crops, respectively.

저자
  • 黃鍾珍(맥류연구소) | 황종진
  • 成炳列(맥류연구소) | 성병열
  • 延圭復(맥류연구소) | 연규복
  • 安完植(맥류연구소) | 안완식
  • 李鍾淏(맥류연구소) | 이종호
  • 鄭奎鎔(맥류연구소) | 정규용
  • 金泳相(농촌진흥원) | 김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