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답리작 대맥.호맥의 파종기.시비량 및 예취방법이 청예수량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Sowing Dates, Fertilizer Levels and Clipping Treatment on Forage Production and Quality of Barley(Hordeum vulgare L.) and Rye(Secale cereale L.) in Paddy fiel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25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청예사료생산을 목적으로 대맥·호맥을 답리작으로 재배할 때 파종기와 시비량, 그리고 예취시기와 높이, 예취회수가 청예건물 생산성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식물체의 출현율에 있어서 대맥은 10월이 지나게 되면 출현율이 현저히 저하되어 한계파종기는 10월말이었으며, 호맥은 11월초까지 파종하여도 출현율의 차이가 없다. 2. 월동률은 비료수준과는 관계가 없었으며, 파종시기간에는 대맥의 경우,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월동률이 높았으며, 호맥은 파시기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다. 또한 호맥이 대맥보다 월동률이 높았다. 3. 출수기의 청예건물 수량은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그리고 비료수준이 높을수록 많은 경향이었으며, 호맥이 대맥에 비해 청예수량이 높았다. 4. 출수기 때 예취한 식물체의 조성분 중 조단백질·조지방 함량은 비료수준이 높아질수록 증가하였으나, 조회분·조섬유 및 TDN 함량은 시비량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NFE는 비료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TDN yield는 비료수준이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며, 호맥이 대맥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5. 2회예취처리에서는 1차예취시기가 빠를수록 호맥에서는 수량이 많은 경향이었으나, 대맥의 경우에는 1차예취기간에 차이가 없었다. 6. 예취높이는 12cm를 유지해 줄 때 재생이 좋아서 총수량이 많았다. 1회, 2회, 예취회수에서는 2회예취에서 청예수량 및 TDN yield가 가장 많았다.

Field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wing dates, ferrilizer levels and clipping treatment of forage production and quality of barley and rye in paddy field. The field emergence rates in barley varieties was decreased rapidly at sowing after November. But in rye varieties, it was not decreased even in sowing until Nov. 3. Winter survival of barley and rye varieties were not affected by fertilizer levels. And winter survival decreased with delay in sowing dates in barley varieties, but, it was not influenced by sowing dates in rye varieties. The production of forage dry matter at heading stage was increased with fertilizer levels, and was decreased with delay in sowing dates. Content of crude protein and crude fat of dry forage at heading stage were increased with fertilizer levels. But, content of crude ash, crude fiber and TDN were not influenced by fertilizer levels. As increased fertilizer levels, NFE Content was decreased and TDN yield was increased with fertilizer levels. In comparisons of TDN yield between barley and rye varieties, TDN yield of rye were superior to those of barley. Clipping twice produced more forage yield than clipping once in both crops. However, optimum clipping interval was about 40 days between first and second clipping in rye but not determined in barley. The l2cm clipping height was the highest production in average total yield.

저자
  • 崔瑩蒝(서울농대 농학과) | 최영원
  • 李浩鎭(서울농대 농학과) | 이호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