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밭토양의 염기비 차이가 녹두수량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the Base Ratio of Upland Soils on the Yield of Mungbea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31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녹두재배시 토양중 검기비 조절효과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pH가 낮은 개간지 토양과 pH가 높은 숙전의 토양에 질소, 인산, 가리를 조합 시비한 시험에서 식물체와 토양시료를 심취 분석하여 이들의 검기비와 녹두수량과의 관계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개화기 토양중 Ca/Mg비는 녹두의 검수, 분지수 및 수량과 정의 관계가 있었으며 (equation omitted) 비는 검수 및 수량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2. 개화기 토양중 Ca/Mg의 절위는 1.9∼6.4 절위이었으며 3.9 이상에서는 녹두 수량에 크게 영향하지 않았으나 1.9∼3.9 사이에서는 3.9에 가까울수록 녹두수량은 급격히 증가되었다. 3. 개화기 토양중 (equation omitted) 비는 0.17∼0.33절위이었으며 0.23이상에서는 수량차이가 없었으나 그 이하에서는 수량감소가 심했다. 4. 수확기 식물체중 Ca/Mg의 절위는 1.4∼4.3이었으며 2.6 이상에서는 수량차이가 없었으나 1.4∼2.6 사이에서는 Ca/Mg 비가 클수록 수량이 증가되었다.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the improving cultural practices of mungbean, investigations were made on Ca/Mg and (equation omitted) ratio in soil and plant grown under three fertilizer levels of N, P, K with different upland soils, using variety, Kyonggijaerae 5. Highly significant possi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the soil extracted molar Ca/Mg ratio, (equation omitted) ratio at flowering time and yield, number of pods per plant, respectively. Soil-extracted Ca/Mg ratio at flowering time ranged from 1.9 to 6.4 and (equation omitted) ratio ranged from 0.17 to 0.33. Yield decreased rapidly as extracted soil Ca/Mg ratio became smaller than the ratio of 3.9, and yield was the highest the (equation omitted) ratio adjusted to 0.23 at flowering time. At harvesting time, Ca/Mg ratio in plant ranged from 1.4 to 4.3 and the yield decreased rapidly as Ca/Mg ratio in plant became smaller than 2.6. Yields, however, were not related to the soil-extracted Ca/Mg ratio interval from 3.9 to at least 6.4 in flowering time and Ca/Mg ratio in plant ranged from 2.6 to 4.3 at harvesting time.

저자
  • 金在鐵(경기도 농촌진흥원) | 김재철
  • 李東右(경기도 농촌진흥원) | 이동우
  • 朴然圭(충북대학교 농과대학) | 박연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