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수도기계이앙육묘에 파종량이 배유물질의 소모 및 묘소질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Seeding Rates on the Endosperm Depletion and Seedling Growth of Rice for Mechine Transplant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42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기계이앙용 상자육묘에 파종량 차이에 따른 배유양분의 소모와 묘소질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다수계품종인 삼강벼와 일반계품종인 동진벼를 공시하였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장은 파종후 급속히 신장하여 10일 경에는 삼강벼, 동진벼가 각각 묘의 60, 50%에 달하였으며, 밀파할수록 점차 작아졌는데, 그 정도는 삼강벼에서 뚜렷하였다. 2. 건물중은 묘대일수가 경과할수록 완만히 증가 하였는데, 밀파할수록 그 증가 속도가 느렸다. 삼강벼, 동진벼 공히 밀파할수록 건물중의 감소가 뚜렷하였는데, 가장 박파인 75g구가 다른구보다도 건물중이 현저히 무거웠다. 3. 배유양분은 삼강벼, 동진벼가 파종후 5일 이내에 각각 68, 65%가 15일에는 각각 85, 90% 정도가 소모되었는데 완전소진시기는 삼강벼가 3.1엽기인 파종후 25∼30일, 동진벼는 3.3엽기인 파종후 25일 정도였다. 4. 묘의 부위별 당함량은 배유가 엽보다 높았으며, 묘대일수 10일에서 엽과 배유의 당함량이 최대치를 나타냈고, 파종양별 당함량 식물체부위, 묘령 및 품종에 따라 달랐다. 5. 묘의 단백질함량은 엽에서 묘대기가 진행될수록 점차 감소하여 15일에 최소치를 보였고, 배유는 파종직후 감소하여 4일에 최소치를, 5일에는 다시 증가하였다가 그 이후 감소하였고, 파종양별 차는 묘령에 따라 각각 달랐다. 6. 묘의 발근력은 30일 묘 가장 좋았으며, 묘령이 높을수록 점차 나빳으며 밀파할수록 발근력이 떨어지는 경향이었다. 7. 엽록소함량은 삼강벼가 동진벼보다 컸으며, 파종량별로는 두 품종 공히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endosperm substance and seedling growth in rice seedlings for machine transplanting with use of two rice varieties, which Samgangbyeo (Indica~times Japonica) and Dogjinbyeo (Japonica) were sown on May 8 with five levels of seeding density. 1. The total dry matter weight, leaf area, length of the longest root, number and length of new root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eding density, and the plant height had the similar tendency to them from 20 days after sowing(DAS). 2. The rooting ability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eding density and decreased from 35 DAS in Dongjinbyeo. 3. The endosperm substance were exhausted at 25 to 30 DAS in Samgangbyeo and at 25 DAS in Dongjinbyeo. 4. The leaf area was more useful than the ratio of plant height to dry matter weight for judging the constitution of seedlings. 5. The reducing sugar contents in the endosperm were the greatest among parts of rice seedlings followed by leaf and root. The contents in leaf, root and endosperm reached maximal at 10 DAS, and varied with plant parts, seedling growth and varieties in different levels of seeding density. 6. The protein contents in leaf and root of rice seedlings became decreased with seedling growth., and were minimal values at 15 DAS. The content in endosperm was decreased soon after seeding, and minimal at 4 DAS with showing some fluctuation of protein content after then.

저자
  • 金容在(전남대학교 농과대학 농학과) | 김용재
  • 申海龍(전남대학교 농과대학 농학과) | 신해룡
  • 宋東錫(전남대학교 농과대학 농학과) | 송동석
  • 張江運(전남대학교 농과대학 농학과) | 장강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