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콩의 생육, 근류형성, 질소고정에 있어서 품종간 차이 III. 등숙기간중 식물체 각 기관 질소함량의 경시적 변동과 질소고정활성과의 관계 KCI 등재

Studies on Varietal Differences in Growth, Nodulation and Nitrogen Fixation in Soybeans, Glycine max (L.) Merrill - Ⅲ. Relationships between Nitrogen Fixation Activity and Nitrogen Content of Plant Organs during Grain Filling Perio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42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생태적 생리적 특성이 다른 5가지 콩품종, 즉 조숙성의 예계7003, SS79168 및 만숙성의 동북7006, 백운콩, 장백콩을 공시하여 등숙기간중 체내성분의 변동 즉 식물체 각 기관 전 질소의 경시적 변동과 품종간 차이가 등숙중기 이후의 질소 고정활성의 급속한 감퇴와 어떤 관련성이 있는가를 구명하기 위하여 지상부 및 지하부 각 기관 전질소 농도를 경시적으로 조사함과 아울러 Acetylene 환원능(ARA) 등 조사를 실시하였다. 특히 공시품종중 예계 7003는 노화가 지연되는 특성(delayed leaf senescence, DLS)을 갖는 품종이다. 조사는 Fehr et al.(1977)의 콩생육단계의 구분에 따라서 협신장기(R4), 입비대기(R6), 성숙시기(R7) 등과 일부 품종은 착협시(R3) 및 R4.5, R6.5, R7.5와 같은 중간적 생육단계에도 보족적인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각기관 질소량과 p-ARA간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어 질소고정활성이 높을수록 질소량은 많았다. 2. 각기관 질소농도와 s-ARA간의 상관은 R4에서 정, R6에서 부의 상관을 보였다. 3. s-ARA와 숙주의 Age나 질소 이외의 영양조건 등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많아서, R4에서는 고질소농도가 엽신의 광합성 activity를 높여서 s-ARA에 촉진적으로 작용하였고, R6에서는 엽신의 광합성 activity가 저하하고 질소화합물의 분해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부의 관계가 인정된 것이라고 판단되었다.

Five soybean varieties of two early maturing ; Karikei 73 and ss 79168, and three late maturing ; Tohoku 76, Baegunkong and Jangbaegkong were used and evaluated in the study. Of the varieties examined, Karikei 73 was characterized by the delayed leaf senescence. To investigate the periodical trends of nitrogen in plant organs and their roles to the nitrogen fixing activity of root nodules, the concentrations of nitrogen in plant organs during the grain filling period were measured. High positive correlation was recognized between the amount of nitrogen in plant parts and p-ARA, suggesting the higher the activity of nitrogen fixation the greater the amount of nitrogen in plant.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nitrogen in plant and s-ARA was positive at R4. but negative at R6. This was inferred that the high concentration of nitrogen at R4 gave accelerating effects on s-ARA by increasing the activity of photosynthesis in leaf-blades, while the reduced activity of photosynthesis in leaf-blades at R6 resulted in continued degradation of nitrogenous compounds in plant, and then high concentration of nitrogen in plants brought reduced supply of sugars to nodules.

저자
  • 金奭東 | 김석동
  • 石塚潤爾
  • 朴來敬 | 박래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