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질소시비량 및 분시비율이 수도품종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Performance of Rice Varieties at the Different Levels and Time of Nitrogen Applic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43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질소시비량(0,10,20,30kg/10a)과 질소분시비율(기비+분얼비 : 수비가 100 : 0, 80 : 20, 60 : 40)이 일본형 품종(섬진벼)과 통일형 품종(삼강벼)의 생육, 수량, 수량구성요소 및 질소이용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두 품종 모두 분얼수 질소시비율이 증가할수록 많았고, 섬진벼는 정상적인 분얼구상을 보였으나 삼강벼는 최고분얼기후 8월중에 제2의 최고분얼기를 보였다. 또, 섬진벼는 질소분시비율간에 분얼수의 차이가 없었으나 삼강벼는 생육초기에는 기비와 분얼비의 비율이 높을수록, 8월에는 수비비율이 높을수록 분얼수가 많았다. 2. 두 품종 모두 무질소구보다는 질소시용구에서 등숙율을 제외한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이 많았다. 질소시비량 간에는 섬진벼는 시비량이 많을수록 주당수수는 다소 증가하였으나 등숙율은 감소하였고, 수당영화수 및 주당영화수, 천립중, 그리고 수량은 차이가 없었다. 삼강벼는 주당수수, 등숙율, 천립중은 차이가 없었으나 수당영화수 및 주당영화수, 그리고 수량은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였다. 3. 질소분시비율 간에 섬진벼는 전량을 기비와 분얼비로만 시용한 구보다 기비, 분얼비, 수비로 분시한 구에서 수당영화수와 천립중은 비슷하였으나 주당수수, 주당영화수, 등숙율, 수량이 높았다. 그러나, 삼강벼는 수비비율이 높을수록 주당수수는 증가하나 수당영화수는 급격히 감소하였고 주당영화수, 등숙율, 천립중, 수량은 큰 차이가 없었다. 4. 두 품종 모두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질소흡수량은 증가하였으나 질소비료의 흡수율은 감소하였다. 흡수된 단위질소당 현미생산량은 질소시비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 삼강벼는 차이가 없었다. 5. 질소분시비율 간에는 섬진벼는 수비비율이 높을수록 질소흡수량과 질소비료의 흡수율이 높았고 흡수된 단위질소당 현미생산량은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삼강벼는 질소흡수량은 차이가 없었으나 질소비료의 흡수율, 흡수된 단위질소당 현미생산량은 분시비율이 높을수록 감소하였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 levels (0,10,20,30kg/10a) and N split rates [the rates of basal+top dressing 15 days after transplanting (DAT) : top dressing 25 days before heading (DBH) was 100 : 0, 80 : 20, 60 : 40 ] on the growth, yield, yield components, and N uptake of Seomjinbyeo (J) and Samgangbyeo (I~times J). The maximum tillering stage occurred in the middle of July in both varieties, but Samgangbyeo showed the second maximum tillering stage in the middle of August probably due to the retarded early growth caused by low temperature in the tillering stage and to favoring temperature in August. Grain yield of Seomjinbyeo was similar among the N levels from 10 to 30 kg/10a without occurrence of rice blast and lodging, but that of Samgangbyeo increased as N level increased upto 30 kg/10a. Grain yield of Seomjinbyeo was higher when N was applied three times (basal and two top dressings 15 DAT and 25 DBH) compared with two times (basal and top dressing 15 DAT), but that of Samgangbyeo was not different among the N split rates. Total N uptake and the proportion of fertilizer N to the total N uptake increased as N level was higher. N uptake tended to be higher as proportion of basal+top dressing 15 DAT increased in early growth stage, but it was higher as proportion of N applied 25 DBH increased in the late growth stage. The N efficiency to produce grain per absorbed N unit decreased as N level decreased in Seomjinbyeo, but similar in Samgangbyeo.

저자
  • 朴鍾錫(영남대학교 농축산대학) | 박종석
  • 李錫淳(영남대학교 농축산대학) | 이석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