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벼 내염성 및 비내염성 품종들의 양이온함량과 그의 유전 KCI 등재

Cation Content of Salt-Tolerant and-Susceptible Cultivars and Its Inheritance in Ri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66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내염성 수도 육종에 있어서 내염성정도의 표시로 생육량과 양이온함량을 선발의 지표로 이용할 수 있는가를 구명하기 위하여 내염성품종과 비내염성품종들의 모본, F1 , F2 식물에 염처리를 하여 생육량과 양이온함량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된 벼 내염성품종들은 염의 농도가 높아갈 때 비내염성품종에 비하여 초장과 건물중의 감소가 적었다. 2. 내염성품종인 Pokkali, Annapurna는 비내염성품종인 wx817, 신설찰에 비하여 염처리시 Na+ 함량이 적고, K+함량이 많았으며 Na+ / K+비가 현저하게 낮았으나, Ca++, M a++함량은 뚜렷한 경향이 없었다. 3. 염처리시 초장, 분얼수, 건물중 등의 생육량은 Na+함량, Na+/ K+비와 유의한 부의 상관을 보였고, K+함량과는 정의 상관을 나타냈다. 그러나 Ca++와 Mg++함량은 생육량과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Na+, K+함량 및 Na+ / K+비는 내염성정도를 표시하는 한가지 지표로서 이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4. 염처리시 내염성품종과 비내염성품종 모두 얼자별 양이온함량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주간의 엽들은 상위엽에서 하위엽으로 내려갈수록 Na+함량이 많아지고, Na+ / K+ 비가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5. 내염성품종인 Pokkali, Annapurna와 비내염성 품종인 wx817, wx126과의 F1 에서 염처리시 초장과 건물중 및 K+함량, Na+ / K+ 비는 내염성 모본인 Pokkali와 유사하였으며, Na+함량은 각 모본의 중간정도를 보여, 내염성은 비내염성에 대하여 우성으로 나타났다. 6. 내염성품종인 Pokkali와 비내염성품종인 wx817간의 F2 에서 염처리시 내염성 관련형질의 변이분포는 건물중과 초장, Na+ 및 K+함량, Na+ / K+비가 내염성모본인 Pokkali에 가깝게 분포하였다. 유전력은 형질별로 0.604~0.811 정도이었고, 조사형질간 유전상관 및 표현형상관은 대체로 고도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on salt-tolerance of rice cultivars in relations with growth retardation and cation content. As the salt-level increased, less retardation in plant height and dry weight were shown in salt-tolerant than salt-susceptible rice cultivars. Salt tolerant cultivars showed lower N a+ and higher K+ content and lower N a+ / K+ ratio at each salt-levels than salt-susceptible ones,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 and Mg++ content. At the tillering stage, the plant height and dry weight of the salt-treated plot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N a+ and K+ content and N a+ / K+ ratio, implying that N a+ and K+ content could be an indicator of salt-tolerance of a rice cultivar. There were no tiller-depending differences in cation content in all cultivars. N a+ content and N a+ / K+ ratio in leaves were lower at the top and higher at the bottom. In three F1 hybrids between salt tolerant parent Pokkali and three salt susceptible parents, plant height, dry weight, K+ content and N a+ / K+ ratio were similar to those of Pokkali parent, while N a+ content was intermediate of the parents. So, it seemed that salt tolerance is dominant over salt susceptibility. In F2 of Pokkali/wx817 cross, genetic segregation of plant height, dry weight, K+ content and N a+ / K+ ratio varied continuously and was biased onto Pokkali side, while that of N a+ content showed normal distribution with intermediate mode. Broad-sense heritability of the characters ranged from 0. 604 to 0. 811. Genotypic and phenotypic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them were relatively high.fficients among them were relatively high.h.h.

저자
  • 元容在(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원용재
  • 許文會(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허문회
  • 高熙宗(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고희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