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미립 절대밀도의 품종간 변이 및 몇가지 미립형질과의 관계 KCI 등재

Varietal Variations in Absolute Density of Rice Grain and Its Relations with Other Grain Charact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69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벼 품종간 미립 절대밀도의 변이와 그에 영향하는 미립관련형질들을 구명하기 위하여 통일형 30, Japonica형 72 및 Indica형 133 계 235 품종에 대해 미립의 절대밀도와 모양 및 크기, 경도, 심복백, ADV, amylose 함량, 전분구조를 조사하고 그들 간의 관계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백미의 절대밀도는 평균적으로 통일형 1.496g/cm3 , Japonica형 1.506g/cm3 , Indica형 1.500g/cm3 이었고, 출수까지의 생육일수 및 현미의 경도와는 정의 상관을 심복백, 현미의 부피 및 1000립중, 입장과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2. 편회귀분석 결과 미립의 크기가 절대밀도에 가장 크게 영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절대밀도의 고, 저에 따른 전분결정구조의 차이는 감별할 수 없었으며, 심복백의 경우 정상배유부분에 비해 전분립자가 둥글고 그 결정조직이 느슨하였다. 4. 미립의 크기가 비슷하고 심복백이 없는 경우 절대밀도의 품종간 차이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나서 수량성에는 크게 영향하지 못할 것으로 생각되나, 미질의 측면에서는 검토되어져야 할 것이다.

To investigate the varietal variations in absolute density of milled rice grain and its relations with other grain characters, the 235 rice varieties which consist of 30 Tongil type rices, 72 Japonica rices and 133 Indica rices were tested on grain size, volume, hardness, chalkiness and 1000 grains weight of brown rice, ADV, amylose content, starch composition on SEM and absolute density of milled rice grain using completely ripened grains. Average absolute density of milled rice grain was 1.496g / cm3 in Tongil type rices, 1.506g / em in Japonica rices, and 1.500g / cm3 in Indica rices. It was correlated positively with days to heading and grain hardness, and negatively with chalkiness, volume, grain weight and grain length of brown ric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grain volume and weight were the major characters affecting the density. However, since the absolute density of milled rice grain did not show great varietal variations it might not seem important as one of the characters contributing to the grain yield, while it could be a factor affecting the grain quality because there were definite varietal differences even though small. The microscopic feature of starch composition on SEM revealed differences between clear and chalky parts of the grain in shape and compactness of starch composition but did not discriminate between high and low-density grains.

저자
  • Cheng Mo Jiang | 강성모
  • Mun Hue Heu | 허문회
  • Hee Jong Koh | 고희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