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땅콩의 재배방법 및 수확시기가 수량구성 형질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Cultural Practice and Harvest Time on Yield Components of Peanu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70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땅콩은 고온성 작물로 우리나라 환경에서는 생육일수 부족과 등숙기간의 저온 등 부적당한 환경조건 때문에 저위생산을 면치 못하고 있을 뿐 아니라 재배품종의 적정 수확기 판단이 어려워 과숙협, 탈협 둥으로 인한 수량감소는 물론, 수확기에 노력의 소모가 지대하여 개화후 경과일수별로 수확, 수양구성형질을 조사하므로서 충북지방의 땅콩 적정 수확시기 결정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으며 그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같다. 1. 비닐피복재배는 자방병의 수를 유의성 있게 증가시켰으며 개화후 일수가 경과 할수록 자방병의 수는 감소하였다. 2. 착협수는 피복재배에서 현저히 증가하였고 수확시기에 따른 차이에도 고도의 유의성이 있었으며 새들땅콩은 개화 후 100일까지, 영호땅콩은 개화후 110일까지 증가하다가 이후부터 감소하였다. 3. 협실비율과 완숙입률은 비닐 피복재배에 의해 현저히 증가되었고 개화 후 일수가 경과 할수록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4. 과숙협률과 탈협률은 비닐 피복재배와 무피복재배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개화후 일수가 경과 할수록 증가하여 새들땅콩은 110일부터, 영호땅콩은 120일부터 급격히 증가하였다. 5. 비닐 피복재배에 의한 100립중 증가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으나 종실수량은 고도의 유의성이 있었으며 새들땅콩은 100일 수확기, 영호땅콩은 110일 수확기에 최고 수량을 보였다. 6. 종실수량과 자방병수와는 유의한 부의 상관이 있었으며 협수, 협실비율, 탈협률, 100립중과는 유의상관이 있었다.

Late harvest in peanut has often resulted in reduced yield and dissipation of labor by virtue of increasing over-matured pods causing the pod shattering.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a basic information for deciding optimum harvest time of the peanut in Chungbuk province by examination of yield components at different harvest time of leading cultivars Saedl and Youngho cultivated with vinyl mulching or non-mulching conditions. Peg number and pod number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vinyl mulching and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 harvest time. Pod number increased with the lapse of days after flowering was gradually decreased from 100 days after flowering in saedl and 110 days in Youngho. Number of seed-bearing pods and matured seed percen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vinyl mulching and had tendency to increase with the lapse of days after floweri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number of over-matured pods and pod shattering percent between vinyl mulching and non-mulching. They increased drastically in 110 days after flowering in Saedl, but in 120 days after flowering in Youngho, Increase in 100 seed weight by vinyl mulching was statistically nonsignificant in both varieties, however, total seed yield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vinyl mulching, showing maximum yield in 100 days after flowering in the variety Saedl and 110 days in Youngho, respectively, Seed yield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peg number and positively correlated to pod number, seed-bearing pod number, pod shattering percent, matured seed percent and 100 seed weight, respectively.

저자
  • 朴正圭(단국대학교 농과대학) | 박정규
  • 吳正行(단국대학교 농과대학) | 오정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