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작물의 산성비 내성 간역검정법 KCI 등재

A Simple Test for Evaluating Acid Rain Tolerance in Crop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90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벼, 옥수수, 보리, 밀, 콩, 팥, 배추, 무, 상추, 시금치, 고추, 토마토 등 12개 작물의 최근 성숙엽의 절편을 pH 3.0, 4.0, 5.0, 5.6의 인공산성비 용액에 1, 2, 3, 4시간 침지하여 침지용액의 pH 및 EC 변화와 침지 잎 절편의 변색정도를 조사하였다. 또 이 결과와 인공산성비에 대한 내성과의 상관관계와 침지용액의 pH 및 EC 변화와 잎에서 용출된 양이온과의 상관관계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잎 침지용액의 pH가 안정되고, 작물간 차이가 현저한 것은 pH 4.0 인공산성비 용액에 I~4시간 침지하였을 때이며, 침지용액의 pH는 용액의 Ca및 Mg 함량과 정의 상관이 있었으나 K 및 Na 함량과는 상관이 없었다. 2. 잎 침지용액의 EC가 안정되고, 작물간 차이가 현저한 것은 pH 5.0인공산성비 용액에 1∼4시간 침지하였을 때이며, 침지용액의 EC는 용액의 K, Ca, Mg 함량과 정의 상관이 있었으나 Na 함량과는 상관이 없었다. 3. 침지용 인공산성비의 pH가 3.0 이상일 때는 침지 후 4시간까지 엽색이 변하지 않았으며, pH 2.0에서는 작물과 침지시 간에 따라 엽색이 변하는 정도가 달랐다. 4. 포장에서 인공산성비에 의한 잎 피해정도와 잎 절편 침지용액의 pH와는 정의 상관이 있었으나 EC 및 잎 절편의 색깔 변화와는 상관이 없었다.

To develop a simple test for evaluation crop tolerance to acid rain disks of recently matured leaves of 12 crops(rice, corn, barley, wheat, soybean, adzuki bean, Chinese cabbage, radish, lettuce, spinach, and tomato) were soaked in simulated acid rain(SAR) solutions for 1, 2, 3, and 4 hours. Changes in pH and electrical conductivity(EC) of leaf soaked solutions and changes in the color of the soaked leaves were observed. The pH and EC of leaf soaked solutions differed depending on the pH of SAR, crops, and soaking time. Among the crops differences in pH of leaf soaked solutions were most stable and significant for 1∼4 hour soaking in pH 4.0 SAR solution, but those of EC were for 1∼4 hour solaking in pH 5.0 SAR soultions. Color of leaves soaked in pH 2.0 SAR solutions was changed significantly, but not in the pH 3.0 or higher SAR solutions. Vis-ual damages of intact leaves caused by spray of pH 2.0 SAR solution in the greenhous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H changes in pH 4.0 SAR solution, but not with EC changes in pH 5.0 SAR solution or color changes of leaves soaked in pH 2.0 soulution. The pH of solu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a and Mg concentrations of the solutions and EC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K, Ca, and Mg.

저자
  • 李錫淳(영남대학교 자연자원대학 농학과) | 이석순
  • 金台柱(구미전문대학 원예학과) | 김태주
  • 金福鎭(영남대학교 자연자원대학 농학과) | 김복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