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광강도와 야간조명에 따른 들깨의 개화 반응 KCI 등재

Flowering Response to Light Intensity and Night Interruption in Perill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96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들깨잎의 주년생산을 위한 일장이 짧은 겨울동안 개화를 억제하기 위하여 들깨품종 엽실들깨, 옥동들깨에 대한 광조도별 0.5∼1 Lux, 3∼10 Lux, 30∼100 Lux, 야간조명시간별 10, 30, 60분간 처리로 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엽실들깨는 옥동들깨보다 처리에 따라 정식후 개화소요일수는 1∼4일 정도 더 소요되었으며 광조도 0.5∼1Lux/야간조명시간 10분간 처리구 에서 개화소요일수가 가장 짧았으며 광조도 3∼10 Lux/야간조명시간 60분간 처리구와 광조도 30∼100Lux/야간조명시간 10, 30, 60분간 처리구 모두 개화가 되지 않았다. 2. 경장은 광조도 0.5∼1 Lux/야간조명시간 10분 처리구가 53∼56cm로 가장 작았고, 광조도 30∼100 Lux/야간조명시간 10분 처리구가 87∼91cm로 가장 컸다. 3.엽면적은 광조도 0.5∼1 Lux, 3∼10 Lux의 처리구에서는 야간조명시간이 길수록 광조도가 강할수록 엽면적은 증가되었으며 광조도 30∼100 Lux 처리구에서는 야간조명시간에 관계없이 엽면적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건물량은 광조도 30∼100 Lux/야간조명시간 10, 30, 60분간 처리구에서 주당 25∼29g으로 가장 무거웠고, 광조도 0.5∼1 Lux/야간조명시간 10분간 처리구에서 주당 16g으로 가장 낮았다. 5. 따라서 일장이 짧은 겨울동안의 개화억제 정도는 광조도 30∼100 Lux/ 야간조명시간 10분 정도 처리하면 효과가 커 그 이상 광조도와 야간조명시간은 엽생산을 위해 필요 없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light intensity and night interruption on leaf production in perilla. Using two cultivars ; og-dong and Yeup-sil. The present studie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effect of the light intensity and night interruption for prolongation of vegetative growth by flowering inhibition in the National Honam Crop Experiment Station, R. D. A, Iri, Korea.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es, varietal differences of days to flower initiation were not significant by the light intensity and night interruption, however differences of days to flower initiation light intensity or night interruption treatment were higly significant. Flowering of perilla was prolongated in high light intensity and in long night interruption. Between the factors treated flowering of perilla was more influenced by light intensity than night interruption. Days to flower initiation of perilla were light intensity(0.5∼1 Lux) in 30 mins night interruption, however 3∼10 light intensity in 60 mins night interruption and 30∼100 Lux light intensity in 10, 30, 60 mins night interruption treatment were not flowering. Plant height, leaf area and dry weight of perilla were the highest in 30∼100 Lux light intensity treatment than in the other treatments. The results would be avaliable establish year-round production methods for low cost of perilla leaf.

저자
  • 吳明圭(호남농업시험장) | 오명규
  • 劉肅鍾(호남농업시험장) | 유숙종
  • 金宗太(호남농업시험장) | 김종태
  • 吳潤燮(호남농업시험장) | 오윤섭
  • 鄭永根(호남농업시험장) | 정영근
  • 張榮宣(호남농업시험장) | 장영선
  • 朴仁珍(전남농업진흥원) | 박인진
  • 朴根龍(작물시험장) | 박근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