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강우처리후 토양건조에 따른 피막형성 및 경도변화가 벼와 피의 출아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Soil Crusting and Hardening during Drying after Artificial Rainfall on Seedling Emergence of Rice and Barnyardgras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300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건답직파재배에서 가장 중요한 입모율의 확보와 잡초 방제에 대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강우 후 토양이 건조하면서 형성되는 토양 피막과 토양 경도의 변화가 벼와 피의 출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본 연구를 하였다. 실험은 강우를 차단하기 위하여 사방이 트인 비닐하우스에서 실시하였으며 사양토, 양토, 미사질양토를 공시하여 파종 . 복토(4cm)후 0, 20, 40mm의 강우를 인위적으로 처리하며 출아율과 유아 특성을 조사하였다. 벼는 이탤리코나베르네코, 다다조, 갈색까락샤레벼, 동진벼, 섬진벼를 공시하였으며, 피는 돌피와 강피를 공시하였다. 실험기간 중 평균기온은 31.3℃ 였고, 일사량은 16.6MJ/m2 /day였다. 1. 파종 .복토 후 강우 처리를 한 경우 토양이 건조됨에 따라 토양 피막이 형성되었으며 토양 경도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토양 경도는 강우량이 많을수록, 점토 함량이 높을수록 높았다. 2. 벼는 강우 처리로 출아율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동진벼와 섬진벼는 점토 함량이 높은 사양토에서 현저히 낮아졌다. 피의 평균 출아율은 벼보다 낮았으나 토성 및 강우 처리에 의한 출아율의 차이는 없었다. 3. 섬진벼와 동진벼의 출아율은 출아기의 평균토양경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여, 토양경도가 1.0kg/cm2 이하일 때는 80%, 1.7kg/cm2 이상일 때는 50%이하로 감소하였다. 4. 출아속도는 피가 벼보다 빨랐고, 강피는 돌피보다 빨랐다. 벼 품종 중에서는 이탤리코나베르네코와 다다조가 빨랐으며 갈색까락샤레벼는 출아율은 이들 품종과 비슷하였으나 출아 속도는 늦었다. 5. 피는 벼에 비하여 중배축의 신장 정도가 현저히 컸다. 벼 품종중 이탤리코나베르네코와 다다조는 불완전엽과 중배축이, 갈색까락샤레벼는 중배축의 신장이 잘 되어 본엽이 지상에서 전개되었으나 동진벼와 섬진벼 는 유아의 신장이 잘 안되어 지중에서 본엽이 전개되었다. 6. 강우 처리 후 토양의 경화와 토막 형성에 의하여 벼 특히 우리 나라 장려품종들의 출아가 현저하게 저하된 데 반하여 돌피와 강피, 벼 품종 중 이탤리코나베르네코, 다다조, 잡초성 벼인 갈색까락샤레벼는 출아율의 저하가 적었는데 이는 피와 이들 벼 품종이 출아 속도가 빠르고 또한 중배축과 불완전엽의 신장성이 크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Soil crusting and hardening as a result of drying after rainfall were examined in relation to seedling emergence by employing five rice varieties (Italiconaverneco, Dadazo, and Galsaekggarakshare, Dongjinbyeo and Sumjinbyeo) and two barnyardgrass species (E. crus-gallj var. oryzjcola and E. crus-galli var. praticola). Sandy loam, loam, and silty loam soils were used. The artificial rainfall of 0, 20 and 40mm were applied after sowing and covering with 4cm soil. Air temperature and solar radiation averaged over 9 days after seeding was 31.3~circC and 16.9MJ /m2 , respectively. Soil strength increased rapidly by drying after artificial rainfall, being greater in soils with greater amount of clay and artificial rainfall. Soil crust was formed on the surface with artificial rainfall in all soils tested. However, soil crust was exfoliated in silty loam and loam soil, and lifted as seedlings emerge. Seedling emergence of rice varieties was decreased by rainfall treatments. Sumjinbyeo and Dongjinbyeo showed much poorer seedling emergence especially in sandy loam soil than the other varieties. Poor seedling emergence of these varieties might have been caused by delayed seedling emergence which had made them expose to greater soil strength. Seedling emergence of barnyardgrasses showed no differences among soil textures and rainfall treatments, because they emerged rapidly before soil crusting and hardening were proceeded enough to hamper seedling emergence. Seedling emergence of Sumjinbyeo and Dongjinbyeo decreased with increasing soil strength averaged over 3 days to 5 days after seeding, being lowered to 80% at soil strength of 1.0kg/cm2 and to 50% at 1.7kg/cm2 . Emergence speed of barnyardgrasses was faster than rice varieties, and E. crus-galli var. oryzjcola than E. crus-galli var. praticola. Italiconaverneco and Dadazo showed faster emergence in rice varieties. Galsaekggarakshare showed slower emergence speed than these two varieties with similar seedling emergence percentage. The greater and faster elongations of mesocotyl and incomplete leaf in rice, and of mesocotyl in barnyardgrass were the characteristics responsible for higher seedling emergence rate in the environment examined.

저자
  • 이변우(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학과)
  • 권용웅(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학과)
  • 명을재(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