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보리짚 피복량에 따른 논물의 화학성분 변화와 벼 발아율 및 유묘신장의 품종간 차이 KCI 등재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of Stagnant Water, Germination Rate and Seedling Elongation of Rice Varieties under Different Amount of Barley Straw Mulch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305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보리 입모중 벼 직파재배에 있어서 콤바인 수확에 따른 보리짚 피복량의 불균일에 의한 표면수의 화학성분 변화와 그 표면수가 벼 품종의 발아율 및 초기 유묘신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pH는 보리짚 무피복에 비하여 피복구가 낮았으며, 피복량이 많을수록 낮았으나 15일 이후에는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2. 용존산소는 무피복에 비하여 피복량이 많을수록 낮았으나, 시일이 경과할수록 증가경향을 보였으나, EC는 용존산소와는 반대로 피복량이 많을수록 높았으며, 처리간 차이가 컸고 15 일에 가장 높았으며,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3. N H4 -N는 처리 초기(5일)에 높고 피복량이 많을수록 높았으나, 급격히 감소되어 10일 이후에는 처리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N O3 -N는 N H4 -N와는 반대로 10일과 15일까지는 증가 경향을 보인 후 감소하였다. 그러나 피복량간에는 N H4 -N와 같이 기복량이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인산(P O4 3- ) 및 양이온( K+,C a2+ Mg2+)함량 들은 무피복에 비하여 피복양이 많을수록 높았으며, 10일과 15일에 최고수준을 보인 후 감소하였다. 4. 보리짚 피복량별 논물이 벼 품종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은, 피복량이 많을수록 발아율은 현격히 떨어졌으며, 생태형간에는 중만생종이 가장 높았고 중생종, 조생종 순이었다. 품종별로 보면 전량 환원구에서는 금오벼, 간척벼, 일품벼, 동진벼 및 계화벼가 우수하였던 바, 이러한 경향은 피복량간에도 같았다. 5. 치상 11일의 유묘신장은 무처리 대비 피복량이 많을수록 유묘의 신장률은 떨어졌으며, 전량 환원피복에서는 일품벼가 가장 우수하였고, 농안벼와 신운봉벼 는 50% 이하의 낮은 신장률을 보였으며, 2배 피복에서는 신운봉벼, 운장벼, 농안벼, 동진벼 등이 신장률이 낮게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variation of chemical components in stagnant water under different mulching amount of barley straw after combine harvesting and the effect of stagnent water on the germinatidn and seedling elongation at early growth stage in rice. pH was lower in barley straw mulching than non-mulching and decreased with increasing of mulched barley straw but was not different among treatments in stagnant water at 15 days after flooding. Dissolved oxygen decreased with the increasing of mulched barley straw and increased with the passing of time, while saline content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of mulched barley straw,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reatments, was peaked at 15 days after flooding and thereafter, decreased. NH4-N was higher 5 days after flooding with thicker barley straw mulching but was not different at 10 days. N O3 -N increased up to 10 to 15 days after flooding and increased with thicker barley straw mulching. Water soluble phosphorus and cation content ( K+ , Ca2+ , Mg2+ )were higher in thicker barley straw mulching and peaked at 10 and 15 days after flooding. Germination rate was decreased by thicker straw mulching and was high in order of medium late, medium and early maturing rice variety. Keumobyeo, Gancheokbyeo, Ilpumbyeo, Dongjinbyeo and Gyehwabyeo showed higher germination rate. Seedling elongation at early growth stage was poorer with increasing of barley. straw mulching. Ilpumbyeo had good seedling elongation in one time amount of barley straw mulching and Shinunbongbyeo, Unjangbyeo, Nonganbyeo and Dongjinbyeo had poorer, in two times.mes.

저자
  • 鄭鎭一(호남농업시험장) | 정진일
  • 金補經(호남농업시험장) | 김보경
  • 河基庸(호남농업시험장) | 하기용
  • 李載吉(호남농업시험장) | 이재길
  • 申鉉卓(호남농업시험장) | 신현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