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팥에 발생하는 바이러스 분리 동정 KCI 등재

Identification of Virus from Azuki Bean Pla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310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팥 바이러스병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병징의 유형과 생육 단계별 감량정도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병징 유형별 바이러스를 분리 동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팥에 발생되는 바이러스병의 병징은 크게 mosaic, yellow mosaic 및 severe mosaic의 3가지 군으로 분류되었으며 병징별 분포는 mosaic>severe mosaic>yellow mosaic 순이었다. 2. 성숙기까지 매개충 차단 재배시의 이병률은 1.5%(방임구 20.7%)로서 생육 후기에 감량될수록 이병률이 낮았으며 10a당 수량도 171kg으로서 방임구에 비하여 45% 증수되었다. 3. 지표식물 검정 결과 mosaic 유형은 CMV, yellow mosaic 유형은 AMV, severe mosaic 유형은 AzMV의 기주범위와 유사하였다. 4. 항혈청에 의한 각 병징별 반응결과 yellow mosaic 유형의 시요는 AMV 항 혈청과 mosaic 유형의 시요는 CMV의 항혈청과 침강선이 형성되어 각각 AMV 및 CMV의 한 계통으로 판정되었다. 5. 병징 유형별 전자현미경 관찰결과 yellow mosaic유형은 18~58 18nm의 타원형 입자가 다수 관찰되었고 mosaic 증상의 시요에서는 직경 30nm의 구형 입자, severe mosaic병징의 시요에서는 730 12nm의 사상형 입자와 봉입자가 관찰되었다.

Three types of virus disease symptoms were observed in azuki bean plants: yellow mosaic; mosaic; severe mosaic with dwarf. The symptoms developed in the indicator plant inoculated with a virus- infected leaf of azuki bean showed similar host range with those of AMV, CMV and AzMV. In antiserum response, yellow mosaic symptom formed sediments with AMV antiserum, mosaic type with CMV antiserum, respectively, From the electron microscope observation, eclliptic particle (18~58~times 18nm), isometric particle (30nm), and filamentous(730~times 12nm) combined with inclusion body were observed in yellow mosaic, mosaic, and severe mosaic with leaf curling symptoms, respectively,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yellow mosaic, mosaic, and severe mosaic with dwarf are caused by AMV, CMV and AzMV

저자
  • 許南基(강원도 농촌진흥원) | 허남기
  • 康文碩(강원도 농촌진흥원) | 강문석
  • 河建秀(강원도 농촌진흥원) | 하건수
  • 金惠子(강원대학교) | 김혜자
  • 崔章京(강원대학교) | 최장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