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감자밭의 재생종이 및 흑색 플라스틱 필름 멀칭에 따른 지표면 에너지 수지와 토양온도의 변화 KCI 등재

Soil Surface Energy Balance and Soil Temperature in Potato Field Mulched with Recycled-Paper and Black Plastic Fil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343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사용된 멀칭자재의 광학적 특성, 작물군락의 형성 등에 의하여 토양표면의 에너지 수지는 달라지며, 이러한 토양표면 에너지 수지의 차이에 의해 변화되는 지중열류가 토양온도 변화의 원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일사량, 밀칭표면의 순복사, 지중열류, 멀칭 내외면 온도, 토양온도 등을 연속적으로 측정하였으며, 실측된 자료를 이용하여 토양표면의 에너지 수지 및 지중열류를 추정하여 멀칭처리에 따른 토양온도 변화의 원인을 분석하였다. 감자 출아전인 1998년 8월 30일의 무멀칭처리에서는 지표면의 순복사(10.0 MJm2day1 )는 높았지만, 대류에 의한 현열이나 수분증발에 의한 잠열로 대부분의 에너지(9.65MJ m2 day1)가 지면으로부터 빠져나가 토양으로 흐르는 지중열류는 0.36MJ m2day1 이었다. 흑색 폴리에틸렌 필름 멀칭에서는 지표면의 순복사는 2.4 MJ m2day1 이었지만 멀칭면과 토양표면의 대류에 의한 지표면의 에너지 손실이 1.39 MJ m2day1 로 적어져 지중열류는 1.02 MJm2day1 로 무멀칭처리보다 많이 높았다. 종이멀칭처리에서의 지표면의 순복사는 1.30 MJ m2day1 로 다른 처리에 비해 낮았고, 멀칭면과 지표면의 대류에 의한 에너지 교환에 의하여 지표면으로부터 1.36 MJ m2day1 의 에너지가 손실되어 지중열류는 -0.06 MJ m2day1 로 흑색 폴리에틸렌 필름 멀칭이나 무멀칭보다 낮았으며, 특히 주간의 상위층 토양온도가 다른 처리에 비해 많이 낮아졌다. 군락이 형성된 9월 27일의 경우, 멀칭처리에서의 지표면 순복사는 군락이 없는 8월 30일의 경우와 큰 차이가 없었지만 무멀칭처리에서는 군락의 일사 차단으로 순복사가 현저히 낮아졌으며, 흑색 플라스틱 필름 멀칭처리에서는 현열 및 잠열에 의한 손실이 작아 지중열류는 다른 처리에 비해 높았으며, 무멀칭처리에서는 현열 및 잠열에 의한 에너지 손실이 많아 지중열류는 작았다. 이러한 지중열류의 차이에 의해 흑색 플라스틱 필름 별칭처리에서의 지온이 다른 처리에 비해 높아졌고, 종이멀칭처리에서의 지온은 군락이 형성되지 않은 초기에는 무멀칭에 비해 낮았지만 군락이 형성된 후기에는 그 차이가 거의 없었다. 군락의 형성여부와 관계없이 일 최저기온 및 최고기온이 나타나는 시각의 토심에 따른 토양온도의 변화는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일 최고기온이 나타나는 시각에 흑색 플라스틱 필름 멀칭처리에서의 온도는 지표에 가까울수록 급격하게 높았으며, 그 증가추세는 종이멀칭이나 무멀칭에 비해 현저하였다.

The thermal and photometric properties of mulching materials modify the radiation and energy balance on the mulched soil surface and thereby change the soil temperature. The soil surface energy balances and soil temperatures under the mulching treatments of non-mulched control, recycled paper (RPM), and black polyethylene film (BPFM) were compared before and after the establishment of potato canopy. On August 30 in 1998 when potato was not emerged yet and solar radiation was 17.9 MJ m-2 day-1 , the net radiation of the soil surface was estimated as 10.(1, 2. 4, and 1.3 MJ m-2 day-1 under the control, BPFM, and RPM, respectively. The sensible and latent heat loss from the soil surface was 9.65 MJ m-2 day-1 in the control, most of the net radiation being lost through evaporation and convection, whereas it amounted only to 1.39 MJ m-2 day-1 in BPFM and 1.36 MJ m-2 day-1 in RPM. Therefore, the soil heat fluxes were 0.36 1.02, and 0.06 MJ m-2 day-1 under the control, BPFM and RPM, respectively. On September 27 when potato canopy was fully developed, the soil surface net radiation in the control was sharply decreased as compared to that of Aug. 30, whereas the net radiation of the mulched soil surfaces showed little changes. The soil heat flux was -0.01, 0.95, and 0.12 MJ m-2 day-1 at the soil surface under the control, BPFM and RPM, respectively. As the mulching treatments brought about such alteration of energy partitioning into the soil, the highest soil temperature was recorded in BPFM and the lowest in RMP without regard to potato canopy development. However, the soil temperature differences among the treatments become smaller when potato canopy were fully developed.

저자
  • 이변우(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학과)
  • 최일선(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