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보리 생육기간중 적산온도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Growth and Yield of Barley as affected by Accumulated Temperatur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348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출수 조.만에 따른 보리의 생육 및 수량변화를 알고자 최근 맥류 작황 24년('76~'99)자료와 그 중 출수기가 빨랐던 해와 늦었던 해를 추출하여 생육 및 수량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1. 출수 조.만 그룹사이의 차이는 2월과 3월의 적산온도에 기인하며 특히 2월의 적산온도 차이에 고도의 유의성이 있었다. 2. 10월부터 12월까지의 적산온도가 650℃ 정도되면 평년정도로 출수하고 620℃ 이하이면 출수 지연, 670℃ 이상이면 조기출수할 것이며 2월까지는 720℃ 되면 평년정도의 출구기일 것이고, 650℃ 이하이면 출수지연, 780℃ 이상이면 조기출수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3. 출수가 빨라지는 해의 온도유형을 분류하면 월동전 고온형, 월동기~재생기 고온형, 전생육기 고온형으로 나타났다. 4. 출수가 늦어지는 해는 월동~재생기 저온형과 3월 저온형으로 나뉘어졌다. 5. 출수기가 빠른 경우는 구분이 어려웠지만 출수기가 늦은 해는 월동기의 생육기간이 긴 형과 분얼기에 생육기간이 긴형, 전체 생육기간이 긴 형으로 나누어졌다. 6. 출수가 빠른 해의 수량이 출수가 늦은 해보다 많았는데 이는 수수의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In order to kn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cumulated temperature distribution and barley growth characteristics, average, early and late heading years were analyzed. Among 24 year's crop situation test 1976, 1979, 1989, 1990, 1998 were sorted to early heading years and 1977, 1980, 1984, 1996 to late heading years. About 650~circC of accumulated temperature from October to December was enough to get average year's heading date in barley. While 620~circC of accumulated temperature were not enough for average heading, 670~circC of accumulated temperature accelerated barley heading. 780~circC of accumulated temperature from October to February, were enough to get average year's heading date in barley. while 650~circC of accumulated temperature were not enough to, 780~circC of accumulated temperature accelerated barley heading. Temperature pattern types in early heading years were distinguished by three types : high temperature type before winter(I), high temperature type in winter-regrowth stage(II), high temperature type in tillering stage(III). On the other hands, temperature pattern types in late heading years were divided to two types : low temperature type in winter-regrowth stage(I), low temperature type in tillering stage(II). Barley heading was mainly influenced by temperature before winter and winter-regrowth stage. Yields of early heading years were higher than that of late heading years and yield was heavily influenced by the number of spikes per square meter.

저자
  • 박문웅(농촌진흥청 작물시험장)
  • 김재철(농촌진흥청 작물시험장)
  • 이춘기(농촌진흥청 작물시험장)
  • 이춘우(농촌진흥청 작물시험장)
  • 구본철(농촌진흥청 작물시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