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오리의 논 방사시간이 오리행동과 벼 수량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Free-Ranging Time on Duck Behavior Patterns and Rice Yield in Integrated Rice and Duck Farm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365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오리농법에 있어서 오리 주간방사에 대한 유효성을 명확히 구명하고자, 오리를 주간 12시간 (07:00-19:00) 논 방사후 야간에는 간이휴식장으로 재수용하는 주간방사구와 주야 24시간 연속방사하는 종일방사구의 2 시험구로 구분하고, 논 방사시간에 따른 오리의 성장과 행동유형, 관개수의 pH 및 용존산소농도, 벼 생육과 수량성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오리 방사시간에 따른 오리의 체중은 주간방사구와 종일 방사구간에 큰 차이는 없었으며, 오리 행동유형에서 논내 채식행동과 날개다듬기 행동 및 노동행동은 주간방사구에서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2.주간 12시간(07:00-19:00)동안 오리의 논내 체류시간은 두 시험구간에 거의 유사한 수준을 보였고, 주간방사구 오리의 1일 논내 총 체류시간은 종일방사구 오리의 1/3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3. 관개수의 pH와 용존산소농도는 종일방사구보다 주간방사 구에서 다소 높은 값을 보였지만, 시험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4. 벼 초장은 오리방사 1개월 이후 종일방사구에서 유의적으로 길게 나타났고, 분얼수는 오리방사초기에서 종료시까지 종일방사구에서 현저한 증가를 보였다. 5. 벼 지상부의 건물중량은 출수기에 종일방사구에서 유의적인 증가를 보인 반면, 뿌리의 건물중량은 어느 생육단계에 있어서도 시험구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6. 벼 수량성에 있어서, 영화수는 종일방사구에서 현저하게 증가한 반면, 방숙율은 주간방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10a당 벼 정조수량은 시험구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오리 방사시간은 오리성장과 관개수의 pH 및 용존산소농도 변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주간방사구 오리의 논내 채식과 노동행동은 현저한 증가를 보였다. 또한 오리 방사시간에 따른 벼 초장, 분얼수, 영화수 및 등숙율의 변화를 볼 수 있었으나, 정조수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따라서, 주간 12시간 논 방사하는 오리의 주간방사는 종일방사와 거의 유사한 효과가 있음이 시사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effects of duck free-ranging time on the growth and behavior patterns of duck, pH and dissolved oxygen of irrigation water, and growth and yield of the rice plants in paddy fields. Two paddy fields with each 5 aye were used for 12 hours duck free-ranging plot (12HFR) and 24 hours duck free-ranging plot(24HFR). Body weight gain of the duck was not different between 12HFR and 24HFR. Eating and feather grooming behavior in the 12HFR were significantly longer than those of 24HFR, but other behavior patterns were not so. Working behavior and activities of duck in paddy fields tended to be longer in the 12HFR than in 24HFR. However, any difference was not found on staying time of duck in paddy fields. Although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H and dissolved oxygen of irrigation water tended to be higher in the 12HFR than in 24HFR. The plant height of rice in the 12HFR was significantly shorter than that of 24HFR during the latter half period. The number of tillers per hil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24HFR than in 12HFR. The shoot dry weight of rice in the 12HFR was significantly less than in the 24HFR during the heading stage of rice plant, but the root dry weight was not different. The number of spikelets per panicle was significantly less in the 12HFR than in 24HFR, however the percentage of ripened grain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12HFR. The yield of ric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reatments. In conclusion, the free-ranging time of duck for 12 hours in paddy fields promoted eating and working behavior of the ducks. Free-ranging time did give effects on rice traits such as the number of tillers per hill, plant height, shoot dry weight of the rice plant, and spikelet number and percentage of ripened grain. However, the duck growth, pH and dissolved oxygen of irrigation water, and paddy rice yield were not affected by duck free-ranging time. These results might suggest that almost same effect as in 24 hours of free-ranging can be obtained with only 12 hours of free-ranging in daytime.

저자
  • 高秉大 | 고병대
  • 萬田正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