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농진청 종자은행에 보존된 한국, 중국 및 일본 재래종 콩과 한국 야생콩의 SSR profile 작성과 그들의 유전적 구조 해석을 위해 9개의 SSR 마커에 의해 분석되었다. 1. DNA profiling은 유전자좌별로 2,855(Satt458)점~ 4,368(Satt197)점이 분석되어 35,655건이 데이터베이스화되었다. 2. 총 대립인자수는 267개였고 유전자좌당 평균 29.6개의 높은 다형성을 나타냈다. 유전자좌별 대립인자 수는 21개(Satt532 및 Satt141)부터 58개(Sat074)까지 나타났다. 자원내력별 대립인자수는 한국 야생콩에서 196개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일본 재래종 콩에서는 가장 적은 115개로 나타났다. 3. 집단에 따른 유전자좌별 대립인자의 범위로 한국 재래종 콩이 가장 많은 5개의 유전자좌(Sat074, Satt141, Satt286, Satt545, Satt458)에서 다음으로는 한국 야생콩이 4개의 유전자좌(Satt187, Satt532, Satt245, Satt197)에서 가장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립 인자수면에서는 한국 재래종 콩이 5개의 유전자좌(Sat074, Satt141, Satt197, Satt545, Satt458)에서 가장 많은 대립인자수를 나타냈고, 한국 야생콩은 나머지 4개의 유전자좌(Satt187, Satt532, Satt245, Satt286)에서 가장 많은 대립인자수를 나타냈다. 4. 대립인자 분포에 있어 전체적으로 한국 야생콩 집단은 재래종 집단들에 비해 고른 분포를 나타냈고 대립인자의 크기가 큰쪽(high ladder)에서보다 작은쪽(low ladder)에서 높은 분포를 나타냈다. 5. 재래종 집단들 간에 대립인자 분포를 살펴보면, 한국 집단은 Satt286(202 bp, 232 bp)에서, 중국집단은 Satt197(171 bp)와 Satt458(173 bp)에서 그리고 일본집단은 Sat074(244 bp)와 Satt458(170 bp)에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evaluation of soybean germplasm has mainly been carried out by morphological characters at Genetic Resources Divisio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However, this information has been limited serving a diverse information for user and effectively managing the soybean germplasm. To resolve this problem, soybean collection conserved at RDA gene bank was profiled using nine soybean SSR (Simple Sequence Repeat) markers. Soybean SSR allele was confirmed using genescan and genotyper softwares of automatic sequencer for accurate genotyping of each accession and continuous accumulation of data. SSR profiling of soybean germplasm has been carried out from 2,855 (Satt458) to 4,368 (Satt197) accessions by locus. The number of allele revealed 267 with an average of 29.6 in total accession, and varied from a low of 21 (Satt532 and Satt141) to a high of 58 (Sat074). Although the number of accessions of wild soybean is less than that of soybean landraces, Korean wild soybean is more variable than other soybean landraces populations in total number of alleles. However, Korean soybean landraces were more variable than Korean wild soybeans in 5 loci. In the allele frequency, wild soybean accessions showed an even distribution in all alleles and higher distribution in low ladder than in high ladder. Also, Korean soybean landraces revealed a high condensed frequency in Satt286 (202 bp, 232 bp), Chinese soybean landraces in Satt197 (171 bp) and Satt458 (173 bp), and Japanese soybean landraces in Sat074 (244 bp) and Satt458 (170 bp). These SSR profile information will be provided as indications of redundancies or omissions of accessions and can aid in managing soybean collection held at RDA gene bank. The information on diversity analysis could help to enlarge the genetic diversity of materials in breeding program, and could be used to develop a core collection of soybean germpla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