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인삼 재배 시 차광재료에 따른 미기상 반응과 엽록소의 함량 변화 KCI 등재

Changes of Microclimate Responses and Chlorophyll Content(SPAD) to Different Shading Materials on Korean Ginseng ( Panax ginseng C. A. Meyer) Be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410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인삼의 해가림구조에서 차광판 및 차광망의 차광재료 차이에 따른 인삼 재배포의 광량 및 미기상 반응과 광수용체로 작용하는 엽록소 함량의 변화를 조사하여 인삼생육에 적합한 해가림 차광재료의 표준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차광재료에 따라 맑은 날의 광량은 차광판이 차광망에 비해 70 ~ 76%, 흐린 날은 77 ~ 82% 수준으로 감소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2. 두둑위치 중 전주의 경우는 하루 총 누적광량에 대비해 맑은 날의 경우 39% 수준, 흐린 날의 경우 51% 누적광량이 높은 양상을 나타내며, 중앙 및 후주행은 맑은 날 및 흐린 날 구분 없이 모두 하루 총 누적광량에 비해 낮은 양상을 나타내므로, 두둑위치에 따른 누적광량의 차이가 분명하였으며, 차광재료에 관계없이 두둑위치에 따라서는 전주 > 중앙 > 후주행의 순으로 광량이 낮아지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3. 차광재료에 따라 차광망이 차광판에 비하여 높은 온도를 유지하였고, 두둑위치에 따라 차광망이 차광판 보다 1.9~3.1℃ 높은 양상을 나타내었다. 4. 차광재료별 맑은 날의 평균 누적온도는 외부온도 대비차광판의 경우 7.3%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으나, 차광망의 경우 0.7% 증가되는 양상을 나타내었고, 흐린 날의 평균 누적온도는 차광판의 경우 0.7% 감소하는 양상을, 차광망의 경우 1.6%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5. 차광재료에 따른 두둑위치별 일일 누적온도의 차이를 비교해 보면 차광망이 차광판에 비해 맑은 날의 경우 전주, 중간 및 후주행이 각각 7.0, 7.8 및 8.8% 높은 양상을 나타내고, 흐린 날의 경우 각각 1.7, 1.6 및 3.5% 높은 양상을 나타내어 두둑위치에 관계없이 차광판이 차광망에 비해 온도가 낮은 양상을 나타내었다. 6. 엽록소 SPAD 값은 전주와 중앙의 두둑위치에서는 차광판이 차광망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고 후주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microclimate (photosynthetically active radiation and temperature) response to different shading materials(shade plate, and polyethylene net) on Korean ginseng(Panax ginseng C.A. Meyer) bed. Photosynthetically active radiation(PAR) under polyethylene net was approximately 24 ~ 30% higher than that under shade plate on sunny day. Also, PAR was remarkably decreased from the front to the rear rows of ginseng beds. Temperature under polyethylene net was higher than that of shade plate. Internal temperature under polyethylene net was 1.9 ~ 3.1% higher than that under shade plate at the different rows of ginseng bed. Mean of total daily temperature under polyethylene net was higher at the rear rows than at the front rows, while that under shade plate was higher at the front rows than at the rear row of ginseng bed. Mean of total daily temperature on sunny days(April 15 and May 17) was 7.3% lower under shade plate than above outside but, polyethylene net was 0.7% high, while that on cloudy days(April 11 and May 15) was 1.6% higher under polyethylene net than above outside, but shade plate was 0.7% low. Also, overall mean of total daily temperature under polyethylene net was 7.0, 7.8, and 8.8 % on sunny day(April 15 and May 17), and 1.7, 1.6, and 3.5% on cloudy day(April 11 and May 15) higher than that under shade plate, respectively. The SPAD values of 6 years old ginseng at two point(front, center) in bed under shade plate showed the highest value, and the lowest under polyethylene net. The SPAD of 6 years old ginseng at rear in bed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under two shading materials.

저자
  • 안영남(경기도 농업기술원)
  • 정명근(강원대학교 생약자원개발학과)
  • 강광희(영남대학교 자연자원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