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수확시기, 예건 및 싸라기 처리가 유기 청보리의 사초 생산성 및 사일리지 품질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Harvest Stage, Wilting and Crushed Rice on the Forage Production and Silage Quality of Organic Whole Crop Barel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563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Science)
한국초지조사료학회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초록

최근에 청보리 사일리지는 국내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는 조사료이지만 유기축산을 위한 유기조사료의 생산과 품질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시험은 유기 청보리 사일리지의 적정 수확시기를 구명하고, 사일리지 품질 향상을 위하여 예건과 싸라기를 첨가하여 사일리지를 평가하였다. 시험구 배치는 12처리 3반복의 분할구 배치법으로 주구는 수확시기로 출수기, 유숙기 및 황숙기를 두었으며, 세구는 무처리, 예건, 싸라기 10%, 싸라기 15%를 두었다.

Although whole crop barley (Hordeum vulgare L.) is now widely grown as a silage crop in Korea, forage production and silage quality of that for organic farm have not been published. Therefore,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harves

저자
  • 김종덕(천안연암대학 신학협력단)
  • 이현진(천안연암대학 신학협력단)
  • 전경협(천안연암대학 신학협력단)
  • 양가영(천안연암대학 신학협력단)
  • 권찬호(경북대학교 축산학과)
  • 성하균(주) 대)
  • 중앙연구소)
  • 황보순(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조익환(대구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