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Groundwater Flow Modeling in a Block-Scale Fractured Rocks considering the Fractured Zones KCI 등재 SCOPUS

단열대의 영향을 고려한 블록 규모 단열 암반에서의 지하수 유동 모의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6871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방사성폐기물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초록

핀란드 Okiluoto 섬 중앙부에 방사성폐기물 처분장으로 예정된 부지에서 블록 규모 지하수 유동 모의를 수행하였다. 현장에 설치된 심부 관측공에서 관찰된 단열대에 관한 자료를 이용하여 단열망을 구성하였다. 이 단열망을 이용하여 3차원 유한 요소 격자망의 수리전도도장를 생성하고, 이를 지하수 유동 모의에 이용하였다. 현장에서 이루어진 양수시험 전과 후에 심부 관측공에서 측정된 수위와 구간별 유입, 유출량을 이용하여 시추공과 교차하는 단열대의 투수량계수와 부지의 함양률을 조절하며 지하수 유동 모형을 보정하였다. 양수 시험 전과 후를 순차적으로 보정해가며 모의한 결과, 보정된 지하수 유동 모형으로 계산한 지하수위는 관측 자료와 비교적 일치하지만, 관측공에서의 지하수 유입, 유출량은 상당한 차이를 보이는 구간도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런 불일치는 지하수 유동로가 될 수 있는 구조가 지하수 유동 모의를 위한 개념모형에 충분히 반영되지 않아 생기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에 배경단열과 같은 국지적인 유동로 구조가 개념모형에 반영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block-scale groundwater flow system at Olkiluoto site in Finland was simulated. The heterogeneous and anisotropic hydraulic conductivity field for the domain was constructed from the discrete fracture network,which considered only the fractured zones identified in the deep boreholes installed in the study site. The groundwater flow model was calibrated by adjusting the recharge rate and the transmissivities of the fractured zones to fit the calculated hydraulic heads and into- and out-flow rates in the observation intervals of the boreholes with the observed ones. In the calibrated model, the calculated flow rates at some intervals were not in accordance with the observed ones although the calculated hydraulic heads fit well with the observed ones, which revealed that the number of the conduits for groundwater flow is insufficient in the conceptual model for groundwater flow modeling. Therefore, it was recommended that the potential local conduits such as background fractures should be added to the present conceptual model.

목차
Abstract   요약   I. 서론   II. 모의 현장   III. 지하수 유동 모의 방법    가. 분리 단열망(DFN) 구성    나. 수리전도도장 계산   IV. 모의 결과    가. 양수 시험 전    나. KR14 양수 시험    다. KR18 양수 시험   V. 토의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
  • Nak-Youl Ko(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 고낙열 Corresponding Author
  • Sung-Hoon Ji(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 지성훈
  • Yong-Kwon Koh(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 고용권
  • Jon-Won Choi(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 최종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