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서식환경이 변화된 용담호의 어류상 및 어류군집 특성 KCI 등재

Characteristics of Fish Fauna and Community Structure in Yongdam Reservoir by Inhabiting Environment Chang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045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한국환경생물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초록

강 상류에 설치된 대형 댐에 의해 연속성을 차단함으로써 유수역에서 정수역으로 변화된 금강 상류에 위치한 용담호를 선정하여 서식하는 어류상 및 어류의 군집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2009년 4월부터 11월까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채집된 어류는 강 상류의 자연성을 잘 유지하고 있는 원서식지(St. 1)에서 8과 15종이며 고유어종은 11종이었고, 댐호로 인해 수환경 변화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생각되는 용담댐 직하류 수역(St. 3)에서 10과 24종이며 한국 고유종은 11종이 출현하였다. 반면 댐호로 인해 유수역에서 정수역으로 수환경이 변화된 용담호 내(St. 2)에서 7과 20종이며 한국고유종은 6종이 출현하였다. 금강 상류수역에 건설된 용담댐으로 인해 댐호에는 기존에 금강 상류수역의 대표적인 서식어류인 칼납자루, 감돌고기, 쉬리, 꾸구리 등과 같은 유수역에 서식하는 어류는 사라졌으며, 붕어, 끄리, 치리, 피라미, 블루길과 같이 정수역에 서식하는 어류들이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충식성 어류의 상대적 풍부도는 St. 1에서 66.7%인데 반하여 St. 2에서는 40.0%로 차이를 보였고, St. 3에서 중간 형태로 54.2%이었다. 우리나라의 생물자원인 고유어종의 보존뿐만 아니라 수생태계의 건강성 유지를 위해서는 강 상류에 대형댐과 같이 대규모의 상류 서식지를 변화시킬 수 있는 인공 시설물의 축조는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며, 불가피한 경우는 건설시 보전대책 수립이 필요하다.

From April to November 2009, we performed field investigation to survey the characteristics of fish fauna and fish community structure inhabited in Yongdam reservoir in the upper Geumgang, which is changed into flat-water zone from flow-water zone by blocking the continuity by the gigantic submerged weir built in the upstream of Geumgang. 15 species belonging to 8 families were collected from natural habitat (St. 1) where its natural characteristics is well preserved, and 11 species were korean endemic fish species. 24 species belonging to 10 families were collected at the down region of Yongdam dam (St. 3), which might be affected by the change of water environment due to the dam, and 11 species were korean endemic fish species. On the other hand, 20 species belonging to 7 families were collected inside Yongdam reservoir (St. 2) which is changed into flat-water zone from flow-water zone by the dam reservoir, and 6 species were korean endemic fish species. In the dam reservoir, due to Yongdam dam built in the upper Geumgang, the original flow-water zone fish such as Acheilognathus koreensis, Pseudopungtungia nigra, Coreoleuciscus splendidus, and Gobiobotia macrocephala were disappeared, and instead, the kinds of fish habitating in the flat-water zone tend to increase rapidly, such as Carassius auratus, Opsar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Hemiculter eigenmanni, Zacco platypus, and Lepomis macrochirus. Relative abundance of the insective fish was 66.7% at St. 1, 40.0% at St. 2, and 54.2% at St. 3. In order to preserve endemic fish species and aquatic ecosystem, it is desirable to minimize the artificial installation in the upper river, such as a large scale dam which can affect the habitat and if inevitable, it is required to prepare preservation measures when building facilities.

저자
  • 양상근(국립수산과학원 미래양식연구센터) | Sang-Geun Yang
  • 조용철(부산시수산자원연구소) | Yong-Chul Cho
  • 양현(생물다양성연구소) | Hyun Yang
  • 강언종(국립수산과학원 대외협력과) | Eon Jong Kang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