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독도 암반조간대 무척추동물군집의 공간적 분포 KCI 등재

Spatial Distribution of Marine Invertebrate Communities on Intertidal Rocky Shore in Dokdo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045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물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초록

독도 조간대 해양무척추동물의 공간적인 분포를 밝히기 위해서 2009년부터 2011년까지 10차례에 걸쳐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Bray-Curtis 유사도를 이용한 집괴분석을 통하여 3개의 군집을 밝혔으며, 첫 번째 군집은 자갈해변군집으로 이동성 복족류인 보말고둥과 깜장각시고둥 그리고 밤고둥이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두 번째 군집은 잔잔한 암반해안으로 보말고둥, 큰뱀고둥 그리고 군소가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 군집은 두 종의 고착형 절지동물인 검은큰따개비와 거북손이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군집은 독도 암반조간대의 기질의 종류와 수리역학적인 조건에 의해 결정되었으며, 환경적인 조건이 해양생물의 생물다양성을 유지하고 증가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To determin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marine invertebrate communities in intertidal rocky shore on Dokdo, 10 times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at 7 stations during the year of 2009 ~2011. The marine invertebrate community can be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groups based on cluster analysis of Bray-Curtis similarity. As a first group, the pebble beach community, Omphalius rusticus, Monodonta perplexa, and Chlorostoma lischkei which were movable gastropod with dominant occurrence. Secondly, the still rocky shore community, O. rusticus, Serpulorbis imbricatus and Aplysia kurodai occurred dominantly. Finally, the wave-exposed rocky shore community which dominantly occurred by two sessile arthropods, Barnacles, Chthamalus challengeri and Pollicipes mitella. The three groups were likely to be determined by texture of substrate and hydrodynamic conditions of rocky shore in Dokdo. The results indicated that diversity of marine intertidal invertebrate community around Dok do was mainly affected by habitat characteristics and the surrounding physical properties.

저자
  • 차재훈((주)국토해양환경기술단 부설 환경모니터링연구소) | Jae-Hoon Cha
  • 김미경(영남대학교 해양과학연구센터) | Mi-Kyoung K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