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어리베치의 꽃색 중 보라색, 분홍색, 백색의 유전 양상을 구명하기 위하여 보라색 꽃 품종(청풍보라), 분홍색 꽃 품종(Mamecho) 그리고 백색 꽃 품종(HV-Kw1) 상호 간에 교잡하여 잡종 2세대(F2)에서 꽃색 분리 비율을 조사하고, 또한 분홍색과 연분홍색 사이의 유전 양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연분홍색 꽃 품종(HV-Mp1)과 분홍색 꽃 품종(Mamecho)을 교잡하여 F2에서 꽃색 분리 비율을 조사한 결과 백색/보라색 조합과, 보라색/분홍색 조합에서 보라색은 백색과 분홍색에 대해 3 : 1의 비율로 분리하였고, 연분홍색/분홍색 조합에서 분홍색 3, 연분홍색 1의 비율로 분리하였으나, 백색/분홍색 조합의 F2 집단에서는 보라색 9, 분홍색 3, 백색 4의 비율로 분리하였다. 이러한 헤어리베치 꽃색 유전분리 결과로 볼 때 본 연구에서 사용된 품종들의 보라색, 분홍색, 그리고 백색 꽃은 서로 다른 두 쌍의 유전자 열성상위 작용에 의해 발현되며, 연분홍색은 분홍색에 대하여 단일 열성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헤어리베치 품종 육성의 기초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Flower color of hairy vetch (Vicia villosa Roth) was observed individually in F2 of crosses among violet, white, pink flower varieties, and between pale pink and pink flower varieties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useful gene as source of colored flower. F2 segregation mode of flower color between cross of white/violet was fitted to 3 violet : 1 white, and same segregation ratio of 3 violet : 1 pink was found in F2 of cross of violet/pink flower variety. Also, F2 segregation of flower color between cross of pale pink/pink flower variety was fitted to 3 violet : 1 white. When white flower was crossed with pink flower, flower color in F2 population segregated into 9 violet : 3 pink : 4 white.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indicated that flower color of parental varieties was controlled by recessive epistatic interactions of two genes, and pale pink flower color was recessive to the pink color of the parental variety. This flower color inheritance may be used for practical application in breeding of hairy vetch var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