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고추 매운맛 함량 연구를 위한 F RIL 집단의 원예적 특성 평가 KCI 등재

Evaluation of Horticultural Characteristics in F RIL Populations for Pungency Level Studies in Chili Peppe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133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육종학회지 (Korea Journal of Breeding Science)
한국육종학회 (The Korean Breeding Society)
초록

고추의 고유 특성인 매운맛은 태좌 조직에서 주로 발현되는 capsaicinoid라는 화학물질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이 물질을 생합성하는 유전자와 매운맛의 유무를 판별할 수 있는 분자표지까지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아직 매운맛 함량에 대한 유전연구와 분자적 기전은 그 연구가 깊지 못한 상황이고, 본 연구는 고추 매운맛 함량 연구를 위한 F7 RIL mapping집단을 육성하고 매운맛 함량을 비롯한 주요한 원예적 특성들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자방친인 ‘생력211’의 capsaicinoid 함량은 341.6 mg/100 g으로 ‘청양’ 고추 품종보다 높은 수준인 것으로 확인되었고, 화분친인 ‘생력213’은 무신미인 것으로 HPLC 결과와 분자표지 결과가 일치하였다. 양친을 교배 후 자가수정하여 육성된 F7 RIL 93계통들에 대해서 매운맛 함량을 분석한 결과, 최저 77.8 mg/100 g부터 최고 1046.0 mg/100 g까지로 그 변이 폭이 매우 크며, 매운 계통들 내에서의 함량 분포도는 정규곡선 양상을 보여 본 육성 집단이 향후 매운맛 함량 연구를 위해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unique trait ‘pungency’ in peppers (Capsicum.) results from the secondary metabolites known as capsaicinoids. Previous studies have identified a single dominant gene, Pun1, to be involved in biosynthesis of capsaicin. Molecular markers to distinguish between presence and absence of pungency have already been developed. But there have been little studies and information concerning the genetic control of quantitative trait of capsaicinoid content in Capsicum fruit.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ed cultivation and evaluation of F7 RIL population for QTL analysis related to the capsaicinoid content. We have evaluated several horticultural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 capsaicinoid content in two parents and 93 plants of F7 generation. The capsaicinoid content of pungent parent, Saengryeg 211 was found to be 341.6 mg/100 g, which was higher than pungent cultivar, ‘Chungyang’. For the non-pungent parent, Saengryeg 213, it was 0mg/100 g. This coincidence with molecular marker related to presence/absence of pungency. The capsaicinoid content in 93 plants of F7 generation ranges from 77.8 mg/100 g to 1046.0 mg/100 g and its distribution in pungent lines showed a normal curve pattern. These results provide a strong foundation of this mapping population for further QTL analysis studies related to fruit quality including the pungency level.

저자
  • 안율균(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 Yul-Kyun Ahn Corresponding Author
  • 강원희(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원예학과) | Won-Hee Kang
  • 이혜은(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 Hye-Eun Lee
  • 김도선(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 Do-Sun Kim
  • 우종규(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 Jong-Gyu Woo
  • 조영일(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 Young-Il Cho
  • 조명철(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 Myeong-Cheol Cho
  • 김정호(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 Jeong-Ho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