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부정경쟁방지법에 기한 전직금지청구에 관한 연구

Legal Analyses on Using Korean Unfair-Competition and Trade Secret Law as Cause of Action on Employer’s Injunctive Relief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159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900원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Center for Law & Technology)
초록

우리나라 판례는 부정경쟁방지법 제10조 제1항을 청구원인으로 하여 침해행위의 금지 또는 예방 및 이를 위하여 필요한 조치 중의 한 가지로서 그 종업원으로 하여금 전직한 회사에서 영업비밀과 관련된 업무에 종사하는 것을 금지하도록 하는 조치를 허용한다. 다만 전직 자체에 대한 금지청구는 허용되지 않고 해당직무에 종사하는 것을 금지하는 청구가 허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판례의 입장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첫 번째, 종업원의 전직을 금하는 경업금지약정의 체결은 종업원의 직업의 자유를 침해할 가능성이 있는데, 이에 대한 어떠한 법률 규정도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는 입법적 해결이 필요할 것이다. 두 번째로, (ⅰ)‘ 종업원의 전직’이 부정경쟁방지법 문언상의‘침해의 우려’와 동일한 해석에 바탕하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과 관련하여, 실제로 종업원의 전직 그 자체가 영업비밀 침해 우려의 대상이라는 시각은 종업원의 직업의 자유를 해칠 염려가 크기 때문에, 법문을 제한적인 범위 내에서 해석하는 태도가 옳을 것이며, 오히려 종업원의‘신의 없는 상황’등과 결합되어야 ‘침해의 우려’를 인정할 수 있을 것이다. (ⅱ) 전 직장에서 대규모의 자본투하가 이루어지는 기술개발 핵심인력의 전직의 경우 전직한 경쟁회사 등에서 서류상으로 전 직장과 관련이 없는 부서에 배치하여 놓고 실제로는 연구 등의 행위를 시키는 것을 실질적으로 규제할 방법이 없고 입증도 어려운 실무상에서 우리나라 판례는 대안을 마련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법적인 대안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이와 같은 우리나라의 상황에서 미국의‘불가피한 누설 이론’은 입법론에 있어서 큰 시사점을 준다. 다만‘불가피한 누설 이론’은 미국에서도 직업의 자유와의 관계에서 그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대두되었던 바, 이를 제한적 범위 내에서만 도입할 필요성이 있다. ‘제한적 불가피한 누설이론’은 (ⅰ) 영업비밀 개념의 광범위성으로 인한 종업원의 직업의 자유와의 법익균형성의 측면에서‘창작성 있는 영업비밀’에 한정하는 것, (ⅱ) 모든 직원이 동일하게 영업비밀에 접근 가능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영업비밀에 직접적으로 접근할 권한이 있는 자에 한정하는 것, (ⅲ) 전∙현직 직장이 직접적인 경쟁관계에 있는 경우에 한하여 청구를 허용하는 것, (ⅳ) 사용자가 해당 영업비밀이 실시 중이거나 실시예정일 것, (ⅴ) 종업원이 직무발명에 대하여 특허 받을 수 있는 권리나 특허권 등을 계약이나 근무규정에 따라 그 사용자에게 승계하거나 전용 실시권을 설정한 경우에 받을 수 있는‘정당한 보상’과 유사한 보상을 사용자로부터 받았을 것 등이며, 이러한 조건이 충족되면 비례의 원칙상 상당성이 인정될 수 있을 것이다.

The Korean Supreme Court recognizes two ways of injunctive relief to prevent an employee,who knows a trade secret of an employer, from moving a job to another one. First, an employer canargue that an employee has agreed in a covenant not to compete or not move to a company that isin direct competition with the former one. Second, an employer can claim through the korean noncompetition and trade secret law that states that an employer can claim an injunctive relief if histrade secret is threatened. But this kind of precedent has two kinds of problems. This study is focused on what theseproblems are and how to solve these. The first problem is that there isn’t any korean law thatrecognizes a covenant not to compete. Under this condition, the employee’s freedom of occupationmay lie in a risky position. This is because the korean constitutional law requires written legislationif the fundamental right of people is threatened. Therefore the only way to solve this problem islawmaking. The second problem is caused by a more realistic situation in working-level. As thekorean supreme court does not accept a complete injunction not to move to any position in a directcompetitor’s company, there is a way to adopt an expedient for those companies who are willing toscout employees who know the core trade secrets from a competitor. Therefore, there must be anlegal alternative to give the right of general injunction to a former employer. This environment raisesome needs of comparative study of Inevitable Disclosure Doctrine(IDD) that is accepted butcontinuously criticized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a conclusion in this study, limited acceptance of IDD may be helpful to protect the interest ofa former employer and guarantee the constitutional freedom of occupation of a employee who iswilling to compete with a former employer. But as an assumed premise of IDD, an employee has tobe in a non disclosure relation of a trade secret with an employer. Thus it is clear that generalknowledge and skill of an employee would not be the target of the limited IDD that is argued in thisstudy.

목차
Ⅰ. 서론
Ⅱ. 우리나라에서의 법률에 의한 전직금지청구
Ⅲ. 미국에서의 불가피한 누설이론
Ⅳ. 전직금지청구와 영업비밀의 성격
Ⅴ. 결론
저자
  • 정수빈(GS 칼텍스 주식회사 법무팀 팀원) | Choung, Sub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