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어류군집과 하천주변 토지이용에 따른 회야강 수계와 인근하천의 건강성 평가 KCI 등재

Stream Health Assessment on Hoeya River Basin and Other Streams Based on Fish Community and Land Use in the Surrounding Watershed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272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생태와 환경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초록

본 연구는 어류군집을 이용하여 회야강 수계와 인근 하천의 건강도를 분석하고 해당하천을 효과적으로 관리 하기 위하여 29지점에 대한 어류상을 조사하였다. 2007 년 실시된 조사에서 총 12과 33종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며, 전체 조사지점에서 우점종은 피라미 (Zacco platypus, RA: 24.8%), 아우점종은 버들치(Rhynchocypris oxycephalus, RA: 16.2%)로 나타났다. 또한 8종의 한국고유종과 4 종의 외래종, 그리고 타 수계로부터 도입된 2종의 이입종 (끄리, Opsari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치리, Hemiculter eigenmanni)의 서식이 확인되었다. 하천별 건강성 평가를 위해 어류군집을 이용하여 생물보전지수 (IBI)를 구한 결과 2지점이 B 등급인 것을 제외한 대부분 C~D 등급으로 확인되었다. 조사지점 인근의 토지이용이 하천 의 건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생물보전지수 와 토지이용과의 Pearson correlation 분석을 실시한 결 과 개발지가 증가할수록 생물보전지수가 감소하였다 (r=-0.425, p=0.022). 반대로 생물보전지수와 숲과 초지 는 양의 상관성을 보였으며(r=0.556, p=0.002), 경작지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r=-0.231, p= 0.333).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회야강 수계 및 인근하천 의 어류군집구조, 하천의 건강도, 인근 토지이용과의 상 관관계는 유역 토지의 개발로 인한 인근 하천의 영향 예 측 및 해당하천의 관리 및 복원사업에 있어 유용하게 이 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to analyze the stream health using fish assemblage and make effective management, we conducted fish monitoring in the Hoeya River basin and neighboring streams. A total of 33 species classified into 12 families were collected from 29 sites in 2007. Dominant species was Zacco platypus (Relative abundance, RA: 24.8%), and subdominant species was Rhynchocypris oxycephalus (RA: 16.2%). Eight Korean endemic species and 4 exotic species were identified. Moreover, two species (Opsari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and Hemiculter eigenmanni) were translocated from other basin. To evaluate stream health of the study sites,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BI) was applied, based on fish assemblages. Overall, IBI values were “C (Fair)” or “D (Poor)” condition, according to the grade except two sites which recorded “B (Good)”. The correlation between land use pattern of surrounding watershed and IBI was analyzed to verify impact of development on stream health using fish assemblage. As a result, when percentage of the developmental groups increased, IBI values were decreased (Pearson correlation, r=-0.425, p=0.022). In contrast, increment of percent forest and grass lan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IBI (r=0.556, p=0.002). The agricultural group and IBI did not significantly correlate with each other (r=-0.231, p=0.333). In this study, we identified a relationship between land use of surrounding watershed and stream health using fish data (i.e. IBI). These results could be provided useful fundamental information to establish management and restoration plan in the Hoeya River basin and other rivers distributed in Korea.

저자
  • 김정희(공주대학교 생물교육과) | Kim, Jeong-Hui
  • 윤주덕(공주대학교 생물자원센타) | Ju-Duk Yoon
  • 조현빈(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 Hyunbin Jo
  • 장광현(경희대학교 환경학 및 환경공학과) | Kwang-Hyeon Chang
  • 장민호(공주대학교 생물교육과) | Min-Ho Jang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