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수생식물이 발달된 습지에서 동물플랑크톤 군집 분포: 수생식물의 밀도 및 종류가 부착성 윤충류와 지각류에게 미치는 영향 KCI 등재

Zooplankton Community Distribution in Aquatic Plants Zone: Influence of Epiphytic Rotifers and Cladocerans in Accordance with Aquatic Plants Cover and Typ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274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태와 환경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초록

본 연구는 얕은 수심의 습지에서 발달된 수생식물의 피도와 종류가 동물플랑크톤 밀도와 다양성에 미치는 영 향을 파악하기 위해 경상남도에 위치한 32개의 습지에서 2011년 5~6월까지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 결과, 총 65 종의 동물플랑크톤이 출현하였으며, 대부분의 습지에서 는 부유성 종보다 부착성 종이 더 많은 수를 보였다(40 종). 조사된 모든 습지에서는 수생식물이 매우 우점하였 으며, 이는 부착성 동물플랑크톤 분포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1×1 (m) 방형구를 이용하여 측 정된 수생식물의 피도와 동물플랑크톤간의 상관성을 분 석한 결과, 부착성 및 부유성 윤충류는 상관성이 나타나 지 않았으나, 부착성 지각류는 뚜렷한 상관성를 나타냈 다(r2=0.39, p⁄0.05, n=32). 부착성 동물플랑크톤에 대 한 수생식물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조사된 습지 중 수생식물이 가장 잘 발달된 우포늪과 장척호의 갈대(Phragmites communis)와 붕어마름(Ceratophyllum demersum) 에 부착된 동물플랑크톤의 채집을 수행하였다. 대부분의 부착성 동물플랑크톤은 갈대보다 붕어마름에서 더 높은 밀도를 보였으며, 이 중 Lepadella, Monostyla, Testudinella는 두 식물간에 매우 뚜렷한 밀도 차이를 나타냈다 (One-way ANOVA, p⁄0.05). 붕어마름은 갈대보다 부착 할 수 있는 공간이 상대적으로 넓으며, 복잡한 구조를 가 지기 때문에 많은 동물플랑크톤이 부착할 수 있는 기질 표면 또한 풍부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수생식물은 부착 성 동물플랑크톤의 서식을 위한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이들의 밀도와 종 다양성 증가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We monitored 32 wetland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aquatic plants on zooplankton density and diversity in the littoral zone in Gyeongsangnam-do from May to June in 2011. A total of 65 zooplankton species were identified in the study sites. Among them, the diversity of epiphytic zooplankton were higher (40 species) than planktonic zooplankton. Littoral zones of all wetlands were covered by various aquatic plants, and influenced the epiphytic zooplankton assemblages. Based on the data from 1×1 (m) quadrat sampling, epiphytic and planktonic rotifer density showed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macrophyte cover. However, the epiphytic cladocerans density significantly increased under high aquatic plant cover (r2=0.39, p⁄0.05, n=32). Types of aquatic plants strongly influenced epiphytic zooplankton density. Upo and Jangcheok are locations which have well developed Phragmites communis and Ceratophyllum demersum communities in the littoral zone, and a higher density of epiphytic zooplankton was recorded on the surface of C. demersum. Especially, rotifers such as Lepadella, Monostyla and Testudinella showed obvious differences (One-way ANOVA, p⁄0.05 for all three species). This result suggests that epiphytic zooplankton have a substrate preference for larger surface areas, likely for adherence, on C. dimersum. In conclusion, the complex structure of the littoral plant community is expected to provide diverse refuge and microhabitats to epiphytic zooplankton.

저자
  • 최종윤(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 Choi, Jong-Yun
  • 나긍환(순천대학교 환경교육과) | Geung-Hwan La
  • 김성기(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 Seong-Ki Kim
  • 정광석(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 Kwang-Seuk Jeong
  • 주기재(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 Gea-Jae Joo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