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외래종 쌍별귀뚜라미(Gryllus bimaculatus)가 토착종 왕귀뚜라미 (Teleogryllus emma)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 of Invasive Cricket Species, Gryllus bimaculatus on the Survival of Korean Cricket Species, Teleogryllus emm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274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태와 환경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초록

본 연구는 외래종 쌍별귀뚜라미 (Gryllus bimaculatus, GB)의 도입에 따른 토착종 왕귀뚜라미 (Teleogryllus emma, TE)의 개체군 크기 감소 위협이 예상됨에 따라, 왕귀뚜라미 (TE)와 쌍별귀뚜라미 (GB)의 체장과 개체수 비율에 따른 생존 경쟁을 조사한 실험이다. 실험에 사용된 쌍별귀뚜라미 (GB)와 왕귀뚜라미 (TE) 공시충은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곤충생태학연구 실 내의 온실에서 대량 사육한 개체들을 사용하였다. 사육온도는 28􀆆C~30􀆆C이며, 장일 조건 (16L : 8D), 상 대습도는 50%~60%로 유지하였다. 매일 두 종의 개체수 를 계측하여 개체수 변화를 조사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더듬이를 제외한 체장 0.5 cm, 1 cm의 왕귀뚜라미 (TE)와 쌍별귀뚜라미 (GB)를 이용하여 왕귀 뚜라미 (TE) : 쌍별귀뚜라미 (GB)의 개체수 비율을 1 : 2, 1 : 1, 2 : 1로 나눈 총 3가지의 조건으로 실험하였다. 그 결 과, 개체가 작을 때에는 쌍별귀뚜라미 (GB)의 세력이 약 하고, 시간이 지날수록 쌍별귀뚜라미(GB)의 세력이 왕귀 뚜라미(TE)보다 강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최종 생존 종은 대부분 쌍별귀뚜라미 (GB)였으며, 쌍별귀뚜라미 (GB)의 노화가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생존력이 강한 경향 을 보였다. 쌍별귀뚜라미 (GB)의 생존율은 큰 차이를 보 이지 않았던 반면, 왕귀뚜라미 (TE)의 생존율이 큰 폭으 로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mpetition for survival between the two cricket species: Gryllus bimaculatus (GB) and Teleogryllus emma (TE). The test insects for this research were bred in the greenhouse of the Ecological Entomology Lab, College of Agriculture and Bioscienc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Korea. The feeding environment was 28􀆆C to 30􀆆C, Long-Day condition (16L : 8D) and Relative Humidity: 50%~60%. The changes of the individual number in two species (TE, GB) were checked every day. This research had three experimental conditions which the ratios of individuals (TE : GB) were set at 1 : 2, 1 : 1 and 2 : 1. The survival rate of GB was net better than that of TE in the result of this study. However, due to the absence of the diapauses period in the egg stage, GB would dominate over TE in the field condition. The appropriate legal measure against GB is recommended.

저자
  • 이은아(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명과학부) | Lee, Eunaa
  • 권오석(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명과학부) | Ohseok Kwo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