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수원 일월저수지에서 Microcystis aeruginosa (Kützing) 수원 일월저수지에서 Microcystis aeruginosa (Kützing) KCI 등재

Variances of Environmental Factors during Water Bloom by Microcystis aeruginosa (Kützing) Kützing in Ilwol Reservoir, Suw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275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생태와 환경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초록

본 연구는 수원 일월저수지에서 수화현상 시 환경요인 들의 변화와 한국형 부영양화 지수를 이용하여 영양단계 를 평가하였다. 수화현상 종은 남조류의 Microcystis aeruginosa Kütz.였으며 조사기간 내내 우점하였다. 수온은 평균 25.7~28.4􀆆C, pH는 8.4~11.17, CODcr는 4.25~72.0 mg L-1, 전기전도도는 333.1~749.0 μS cm-1, Chl-a는 22.0~185.0 mg L-1였다. 정체 수역인 정점 2에서 CODcr 는 다른 정점에 비해 2.9배 정도로 높아 내부기원 유기 물의 기여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영양염인 TN은 평 균 28.86~56.75 mg L-1 , TP는 0.2~1.24 mg L-1로 매우 높았고, Fe는 0.11~1.05 mg L-1이었고, Si는 3.13~7.46 mg L-1이었다. TN과 TP는 일월저수지 내에 지속적으로 누적된 것으로 파악되었고, Fe도 높은 농도가 유지되었다. 한국형 부영양화지수는 37.19~147.22였다. 영양단계 는 중영양에서 과영양 단계로 평가되었고, 같은 저수지 내에서도 시기 및 지점에 따라 영양단계가 다름을 나타 내므로 많은 자료가 추적된다면 한국형 영양단계 분석은 저수지의 영양단계 분석 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 로 판단된다.

Variances in environmental factors were followed in Ilwol reservoir, Suwon, during bloom of Microcystis aeruginosa (Kützing) Kützing, Cyanophtya from August to October, 2011. M. aeruginosa dominated the water column throughout the investigation period. The water temperature varied from 25.7􀆆C to 28.4􀆆C, pH 8.40 to 11.17, CODcr 4.25 to 72.00 mg L-1, electrical conductivity 333.1 to 749.0 μg cm-1, and Chl-a 22 to 185 mg L-1. In particular, the high levels of CODcr is likely indicate high contribution of autochthonous organic matters in the reservoir. TN varied from 28.86 to 56.75mg L-1, TP 0.20 to 1.24 mg L-1, Fe 0.11 to 1.05 mg L-1, and Si 3.13 to 7.46 mg L-1. These increases imply constant accumulation in Ilwol reservior, and reinforce the idea of autochthonous organic matters input in the reservoir. The Korea Trophic Status Index (TSIKO) varied from 37.19 to 147.22. Trophic levels varied from mesotrophic to hypertrophic level, and differed spatio-temporally.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TSIKO is useful for analyzing trophic status of reservoirs.

저자
  • 김시균(서경대학교 화학생명공학과) | Si-Kyoon Kim Corresponding author
  • 조기안(초당대학교 환경보건학과) | Ki-An Jo
  • 박정원(국립공원연구원 유류오염연구센터) | Jung-Won Park
  • 김지은(서경대학교 화학생명공학과) | Kim, Ji-E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