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덕유산 국립공원 남덕유산 일대 삼림식생의 군락분포에 관한 연구 KCI 등재

Community Distribution on Forest Vegetation of the Namdeogyusan Area in the Deogyusan National Park,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277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태와 환경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초록

덕유산국립공원 남덕유산 (1,507 m) 일대의 산지삼림식 생은 산지낙엽활엽수림, 산지습성림, 산지침엽수림, 식재 림으로 세분되었으며, 기타식생으로 암벽식생, 농경지 등 이 조사되었다. 상관대분류에 의하여 구분된 각각의 산지 삼림식생을 구성하고 있는 분포군락수는 산지낙엽활엽수 림은 22개 군락, 산지습성림 11개 군락, 산지침엽수림 5 개 군락, 식재림 7개 군락, 기타식생 8개 군락 등 총 53 개로 조사되었다. 조사된 주요 군락의 분포 비율을 보면 산지낙엽활엽수 림은 신갈나무군락이 30,857,091.76 m2의 68.53%로 가 장 높은 분포 비율로 조사되었고, 졸참나무군락이 3,461,113.32 m2의 7.69%, 굴참나무군락이 1,388,937.40 m2 3.08%로 3개 군락이 전체의 79.30%를 차지하고 있 었으며, 산지습성림은 들메나무군락이 전체의 82.96%를 차지하고 있으며, 들메나무와 상층부의 식피율이 비슷하 여 혼생군락을 이루고 있는 군락은 4개 군락으로 전체의 8.47%를 차지하고 있다. 산지침엽수림은 소나무군락이 전체의 53.31%로서 대부분의 산지침염수림은 소나무 1 종이 상층부에서 우점종으로 나타나는 군락의 양상을 나 타내고 있다. 기타식생에서 아고산침엽수림은 구상나무- 신갈나무군락의 1개 군락이 조사되었으며 덕유산 국립공 원 전체 식생면적의 0.02%를 차지하고 있으며, 식재림은 일본잎갈나무가 식재림 전체의 40.26%로 가장 많이 식 재되었으며, 잣나무가 33.86%, 리기다소나무가 13.97%로 3개 수종이 전체의 88.09%로 대부분이 이들 3종에 의하 여 식재되어졌다. 결론적으로 덕유산 국립공원 남덕유산 일대의 산림식 생은 신갈나무, 들메나무, 졸참나무, 소나무, 굴참나무 등 소수의 수종들이 최상층부의 우점종으로 구성되어 있으 며, 이들 종들과 관련된 수많은 군락들은 식생천이 및 기 후적 요인들에 의하여 군락 대체가 매우 빠르게 일어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 지역 일대 잠재 자연 식생의 주요종은 산지낙엽활엽수림은 신갈나무, 산지습성림은 들메나무, 산지낙엽활엽수림과 산지습성림의 경계부에는 온도, 습도, 토양들의 요인에 의하여 서나무와 박달나무 등에 의하여 우점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아고산의 침 염수림은 기후온난화, 인위적 교란 등에 의하여 점차적으 로 낙엽활엽수의 분포비율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Forest vegetation of Namdeogyusan (1,507 m) in Deogyusan National Park is classified into mountain forest vegetation and flatland forest vegetation. Mountain forest vegetation is subdivided into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valley forest, coniferous forest, afforestation and other vegetation. Including 45 communities of mountain forest vegetation and 8 communities of other vegetation, the total of 53 communities were researched; mountain forest vegetation classified by physiognomy classification are 22 communities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11 communities of valley forest, 5 communities of coniferous forests, 7 afforestation and 8 other vegetation. As for the distribution rate for surveyed main communities, Quercus mongolica, Quercus serrata and Quercus variabilis communities account for 79.30 percent of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Fraxinus mandshurica community takes up 82.96 percent of mountain valley forest, Pinus densiflora community holds 53.31 percent of mountain coniferous forest holds. In conclusion, minority species consisting of Quercus mongolica, Fraxinus mandshurica, Quercus serrata,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variabilis are distributed as dominant species of the uppermost part in a forest vegetation region in Deogyusan National Park. In addition, because of vegetation succession and climate factors, numerous colonies formed by the two species are expected to be replaced by Quercus mongolica, Carpinus laxiflora and Fraxinus mandshurica which are climax species in the area.

저자
  • 오장근(국립공원관리공단) | Oh, Jang-Geun
  • 김창환(전북대학교 생태조경디자인학과) | Chang-Hwan Kim Corresponding author
  • 강은옥(전북대학교 대학원 생태조경디자인학과) | Eun-Ok Kang
  • 진유리(국립공원관리공단) | Yu-Ri 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