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염 스트레스가 근대(Beta vulgaris var. cicla L.)의 무기이온 및 glycine betaine 함량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Salt Stress on Inorganic Ions and Glycine Betaine Contents in Leaves of Beta vulgaris var. cicla 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277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태와 환경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초록

염(NaCl) 스트레스 하에서 근대의 이온축적 및 삼투조 절물질로 알려진 Glycine betaine (GB) 함량 변화를 알아 보기 위하여 0, 100, 200, 300 및 400mM의 염(NaCl)을 처리하여 생장, 이온양상 및 GB 함량을 조사하였다. 염(NaCl) 농도와 처리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근대 잎의 건중량은 염(NaCl) 0, 100 그리고 200 mM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300 mM 이상의 염(NaCl) 농도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내었다. 양이온 함량은 염(NaCl) 농도 및 처리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주로 Na+ 이온을 축적하며 K+, Mg2+, Na+, Ca2+ 그리고 Fe2+ 순으로 식물체 내에 함유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총 이온함량과 삼투몰 농도는 염(NaCl) 농도가 증가함 에 따라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Na+와 같은 무기이온 을 직접적인 삼투 조절자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lycine betaine은 10일째까지는 함량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염 처리 후 20일째 200 mM 염(NaCl) 농도까지 현저하게 Glycine betaine 농도가 증가하였으며, 300mM 염(NaCl) 농도에서는 다소 감소되는 양상을 보였다. 근대 는 염(NaCl) 스트레스에 대한 세포질성 삼투 조절물질로 Glycine betaine을 축적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근대는 식물체 내로의 염(NaCl)의 유입을 배제하는 기작보다는 효율적인 염(NaCl)의 재분배 및 구 획화와 무기이온을 삼투조절에 이용하며, Glycine betaine 과 같은 세포질성 삼투조절물질을 축적하는 생리적 특성 으로 염(NaCl) 환경을 극복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Growth, inorganic solutes and glycine betaine accumulation in spinach beet (Beta vulgaris var. cicla L.) were studied under different salt conditions. Plants of fortythree days old were assessed by growing for a further 10 and 20 days at four NaCl concentrations (0, 100, 200, 300 & 400 mM). The dry weight of leaves was maximal in plants which were grown at 100 to 200 mM NaCl treatments and after 10d it was decreased slightly at salt treatments of more than 300 mM NaCl. Under the salt conditions, leaves of B. vulgaris contained high inorganic ions to maintain low water potential, but low water soluble carbohydrate contents. Total ionic content and osmolal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salt concentration. Salt stress led to a preferential accumulation of glycine betaine in leaves of B. vulgaris, especially for the 200 mM NaCl treatme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 high degree of NaCl tolerance of B. vulgaris resulted from the accumulation of glycine betaine, which is known to have osmoprotectant properties in the cytoplasm.

저자
  • 최성철(경북대학교 생물학과) | Choi, Sung-Chul
  • 김종국(경북대학교 생명과학부) | Jong-Guk Kim
  • 추연식(경북대학교 생물학과) | Yeon-Sik Choo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