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우리나라 저수지에서 지형, 수문, 수질 및 호안 토양 환경요인의 분석 KCI 등재

Analysis of Environmental Factors of Geomorphology, Hydrology, Water Quality and Shoreline Soil in Reservoirs of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277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100원
생태와 환경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초록

우리나라 저수지에서 호안 환경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 하여, 수위변동폭과 이용 목적에 따라서 35개 저수지를 선정하여 지형, 수문, 수질 및 토양 환경요인을 조사하여 이들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고 환경 특성에 따라 저수지 의 유형을 구분하였다. 저수지의 지형적, 수문적 특성은 그 조성된 곳의 환경과 크기에 따라서 다양하였다. 저수 지의 연수위변동폭은 1~27 m로서 변이가 컸다. 저수지 의 수질은 대부분 중영양 혹은 부영양 상태이었다. 호안 의 토양 환경은 모래 함량이 많았다. 저수지의 수위변동 폭, 빈도 및 기간은 저수지의 이용 목적에 따라서 독특한 특성을 보였다. 홍수조절용 저수지는 수위변동 폭이 크고 빈도는 낮았으며 수력발전용 저수지는 수위변동 폭이 크 고 빈도가 높았다. 회귀분류 나무(CART) 분석 결과에 의 하면 저수지의 수질은 수심, 수위변동폭 및 고도에 의하 여 구분되었다. 주요인분석(PCA)의 결과에 의하면 환경 요인에 의하면 저수지의 유형은 저수지의 크기, 수위변동 폭, 수질 및 토양의 토성과 유기물 함량에 의하여 구분되 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우리나라 저수지의 호안 에서 저수지의 크기, 수위변동폭, 수질 및 호안 토양의 특 성이 중요한 환경요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In order to understand shoreline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Korean reservoirs,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of geomorphology, hydrology, water quality and shoreline soil were analyzed, and the reservoir typ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 the 35 reservoirs selected by considering the purpose of dam operations and annual water-level fluctuations. Geomorphological and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of reservoirs were correlated with the altitude and the size scale of reservoirs. The annual range of water level fluctuation showed a wide variation from 1 m to 27 m in the various reservoirs in Korea. The levels of eutrophication of most reservoirs were mesotrophic or eutrophic. From the result of the soil texture analysis, sand contents were high in reservoir shorelines. Range, frequency and duration of water-level fluctuation were distinctive from the primary function of reservoirs. Flood control reservoirs had a wide range with low frequency and waterpower generation reservoirs had a narrow range with high frequency in the water-level fluctu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CART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 analysis, the water quality of reservoirs was classified by water depth, range of water-level fluctuation and altitude. The result of PC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showed that the type of reservoirs was classified by reservoir size, water-level fluctuation, water quality, soil texture and soil organic matter. In conclusion, reservoir size, the water-level fluctuation, water quality and soil characteristics might be major factors in the environment of reservoir shorelines in Korea.

저자
  • 조강현(인하대학교 생명과학과) | Kang-Hyun Cho Corresponding author
  • 조현석(인하대학교 생명과학과) | Cho, HyunSu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