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Se 기반 디지털 X-선 영상장치의 Contrast-detail 특성 평가 KCI 등재

Evaluation of Contrast-detail Characteristics of an A-Se Based Digital X-ray Imaging Syste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318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한국방사선학회 (The Korea Society of Radiology)
초록

본 연구에서는 a-Se 기반 디지털 X-선 영상장치의 저대조도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contrast-detail 곡선 해석을 수행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X-선 영상장치는 픽셀크기가 139㎜×139㎜이고 유효면적이 46.7㎝×46.7㎝인 a-Si TFT 기판 위에 500㎜ 두께의 광전도체가 코팅된 구조를 갖고 있다. Contrast-detail 곡선을 측정하기 위하여 우선 주어진 촬영조건(즉, 40, 50, 60, 70, 80 kVp, and 16 mA.s)에서 상용 팬톰 인 CDRAD 2.0을 사용하여 X-선 영상을 획득한 후, 그 영상으로부터 IQFinv 인자를 사용하여 그 특성을 최종 평가하였다. 평가된 IQFinv 값은 주어진 광 플루언스(즉, 1.8×105, 5.9×105, 11.3×105, 19.4×105, and 29.4×105 photons/㎟)에서 각각 24.4, 35.3, 39.2, 41.5, 43.4으로 광 플루언스가 증가할수록 점진적으 로 증가하였으며 이는 광 플루언스가 증가할수록 영상의 가독성이 향상됨을 나타낸다.

In this study, we have performed contrast-detail analysis for an amorphous selenium(a-Se) based digital X-ray imaging system by using a contrast-detail phantom(CDRAD 2.0) to test its low contrast performance. The X-ray imaging system utilizes an 500-mm-thick a-Se semiconductor X-ray absorber coated over an amorphous silicon(a-Si) TFT(thin-film transistor) detector matrix with a 139㎜×139㎜ pixel size and a 46.7㎝×46.7㎝ active area. In the measurement of contrast-detail curves we first acquired X-ray images of the CDRAD 2.0 phantom at given test conditions(i.e., 40, 50, 60, 70, 80 kVp, and 16 mA.s), and then evaluated the contrast-detail characteristics of the imaging system from each phantom image by using an image quality factor called the image-quality-figure-inverse(IQFinv). The IQFinv values for the imaging system gradually improved with the photon fluence, indicating the improvement of image visibility: 24.4, 35.3, 39.2, 41.5, and 43.4 at photon fluences of 1.8×105, 5.9×105, 11.3×105, 19.4×105, and 29.4×105 photons/㎟, respectively.

저자
  • 현혜경(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방사선학과) | Hyekyung Hyun
  • 박소현(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방사선학과) | Sohyun Park
  • 김근영(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방사선학과) | Keunyoung Kim
  • 조희문(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방사선학과) | Heemoon Cho
  • 조효성(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방사선학과) | Hyosung C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