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nge of Plant Growth and Media by Genus Sedum in a Less Intensive and Light Weight Rooftop Afforestation System
Sedum속 식물을 이용하여 저관리 경량형 시스템으 로 만든 옥상녹화지에서 무관리 상태에서 3년간 생장 및 인공토양 변화를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서울 시립대 자연과학관 6층 옥상에 2003년 6월에 9종의 Sedum 식물을 식재하여 3년간 무관리 식물상태를 관 찰한 결과 Sedum 식물 9종(돌나물, 땅채송화, 바위채 송화, 큰꿩의비름, 기린초, 섬기린초, 가는잎기린초, ‘Spurium’, ‘Diffusum’) 중 땅채송화와 바위채송화는 1년차 때도 생육이 좋지 않았고 3년차 때는 완전히 사라지고 다른 이입식물로 채워졌다. 기린초와 가는잎 기린초는 1년차에 비해 생육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 으나 다른 5종의 식물은 대부분 생장이 증가하였고 관 상가치도 높았다. 돌나물을 6가지(Pm1Pr1, Pm1Pr1V1, Pr1C1, Pr1V1C1, Pm1V1, V1C1) 배지에 재식한 후 배 지 간 변화를 살펴본 결과 pH는 2003년과 2005년에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EC는 2005에 확연히 높 았다. 질소, 인, 칼륨은 식재년도(2003)에 비해 2005 년도에는 유사하거나 낮은 것을 볼 수 있었다.
The research results on the change of plant growth and media on the rooftop for three years, with no management in a less intensive and light weight rooftop afforestation system, with the genus Sedum were as follows. The results of the findings were from leaving the nine species of the genus Sedum for three years on the rooftop of a 6-floored natural science building at the University of Seoul. Among the nine species of genus Sedum both Sedum oryzifolium and Sedum polytrichoides disappeared and were replaced by other weeds in the third year. On the other hand, growth of Sedum kamtschaticum and Sedum aizoon tended to decrease, while the five other species grew and had an ornamental value. While changes in pH, and contents of N, P and K in the media between 2003 and 2005 after planting Sedum sarmentosum in six different growing media were not significant, EC obviously increa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