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유아의 사회ㆍ정서발달 촉진을 위한 코칭대화 기법에 관한 사례연구 KCI 등재

A Case Study on the Child Coaching Communication Technique for the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390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100원
코칭연구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한국코칭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Coaching)
초록

본 연구에서는 사회․정서 발달을 위한 유아코칭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가정 및 보육시설에서 부모나 보육교사들에게 유아코칭에 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코칭 적용에 있어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코칭과 사회․정서에 대한 특징을 논의 하고, 둘째, 코칭사례들을 분석하였다. 유아가 자기 자신뿐 아니라 다른 사람과도 효과적으로 행동하고 상호작용하며 반응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포함하는데 이것을 사회․정서발달이라고도 불리운다. 따라서, 코칭대화법에 따라 유아의 사회․정서발달의 내용을 보건복지부에서 발행한 표준보육과정 보육프로그램 총론을 기초로 자기존중, 정서인식과 조절, 사회적 관계, 사회적 지식 4개의 범주로 나누었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 전문가협의회, 대화관찰 등을 활용하였다. 유아가 성인 또는 또래와 유능하게 상호작용 할 수 있는 기술을 습득하고, 타인과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사회 ․정서 능력의 향상을 위해 사회․정서발달의 4개의 범주별 내용에 따라 가정에서 부모가 할 수 있는 코칭의 사례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자료 분석을 통하여 유아 사회ㆍ정서 발달을 위한 코칭 사례가 유아의 사회ㆍ정서 발달의 자기존중, 정서인식과 조절, 사회적 관계, 사회적 지식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is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n child coaching for parents and childncare center teachers at home and nursery facilities by presenting child coaching cases fornthe development of social emotion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applying child coaching. Tonthat end,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coaching and social sentiments were discussed, andnsecond, the cases of coaching were analyzed. According to Stowell, coaching is to developnthe capabilities of the members and motivate them and give them feedback frequently byncommunicating with them verbally and behaviorally. This includes enhancing the ability ofninfants not only to behave by themselves but also to be interactive and responsive withnother people effectively, which is also called the development of social emotion. Accordingly,naccording to the methods of coaching communication based on the introduction to thenstandard curriculums of nursery programs issued by the nursery policy development center,nthe contents of the development of social emotion of infants were divided into 4 categoriesnself-esteem, emotion recognition and control, social relationship, and social knowledge. Asnresearch methodology, research on literatures, experts associations, and observation ofndialogues were utilized.nThe cases of coaching which parents can do at home in accordance with the contentsnof 4 categories of the development of social emotion so that infants can acquire skills toninteract competently with adults or their peer group and can enhance social sentimentsncapabilities to form relationship with others. According to this research, child coachingncases for the development of social emotion by presenting self-esteen, sentimentsnrecognition and control , social relationship, and social knowledge.

저자
  • 도미향(남서울대학교 아동복지학과 부교수 / 평택시보육정보센터 소장) | Do, Mi-Hyang Corresponding Author
  • 윤진희(평택시보육정보센터 팀장) | Yun, Jin-Hee
  • 김병은(평택시보육정보센터 부설시립어린이집 시설장) | Kim, Byung-E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