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Osmotic Sink Reverse Osmosis Process를 이용한 에탄올의 농축특성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Ethanol Concentration by Osmotic Sink Reverse Osmosis Proces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416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멤브레인 (Membrane Journal)
한국막학회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초록

역삼투공정과 비교하여 효율적인 농축공정인 OSRO공정에 의한 농축공정을 개발하여 에탄올 농축에 적용한 결과 역삼투공정에 비하여 높은 에탄올 농축효과를 얻었으며, 에탄올 분리효과가 뛰어난 OSRO용 막의 배발 및 농축장치를 다단으로 사용할 경우 산업화가 가능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역삼투공정에 대한 OSRO공정의 농축도차(DCOSRODCRO)는 전 실험범위에서 0보다 큰 값을 보이므로 에탄올 농축에 있어서 OSRO공정이 역삼투공정에 비해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OSRO공정에서 공급용액의 농도 및 부피유속이 감소하고 적용압력이 증가하는 것이 조업조건으로서 유리하였다. OSRO공정에 대한 이론식의 수치모사에 의한 해석적 결과로부터 단수가 증가할 수록 역삼투공정 및 OSRO공정의 농축도값은 커짐을 알 수 있었고, 같은 단내에서는 적용압력이 상승함에 따라 농축도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수치모사에 의한 농축도 이론치는 실험치와 약 15% 이내에서 일치하였다. 농축도는 적용압려과 osmotic sink solution의 부피유속에는 비례하여 증가하며, 공급액 농도와 부피유속에 대해서는 감소함을 알 수 있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실험범위외의 수치모사에 의한 농축도 이론치도 제시하였다.

OSRO process was developed and it was confirmed more effective in ethanol concentrating process comparing to reverse osmosis process. It may be industrialized if more effective membrane for OSRO and reverse osmosis, which indicate the value greater than zero, it was shown that OSRO process was more effective than reverse osmosis for the ethanol concentration process. The decrease of feed concentration and flow rate and the increase of applied pressure made more effective operating conditions in OSRO process to concentrate ethanol. From the numerical esults for the multi-plates, theoretical DC values of reverse osmosis and OSRO process was increased as the umber of stages increased. DC values were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applied pressure in same number of stages. The theoretical values of DC by numerical calculation were corresponded to the experimental values within 15% tolerance. DC value was increased proportional to applied pressure and osmotic sink solution flow rate but it was decreased proportional to feed concentration and flow rate. The numerical calculation over the wide ranges inclading experimental condition was proposed in this study.

저자
  • 이광현(동의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 Kwang-Hyun Lee
  • 민병렬(연세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 Byoung-Ryul M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