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역삼투와 투과 증발막 공정의 비교. I. 이론적 해석 KCI 등재

Comparisons of Reverse Osmosis and Pervaporation Membrane Processes. I. Theoretical Interpretations.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417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멤브레인 (Membrane Journal)
한국막학회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초록

본 논문에서는 역삼투막 공정과 투과 증발막 공정이 Paul과 Ebra-Lima 모델을 사용하여 이론적으로 서로 비교되어졌다. 이 모델로부터 막내에 있는 액의 농도를 역삼투 공정의 경우 압력이 막의 윗쪽에 가하여졌을 때 (반면에 투과 증발 공정의 경우는 가하여진 압력이 무한대일 때) 막 -n-hexane 그리고 rubber 막-benzene 계들에 대하여 계산되어졌다. 또한 polyethylene-n-hexane 그리고 polyethlene-benzene 계들에 대하여 역삼투 및 투과 증발 공정의 투과도가 계산되어졌고 비교되어졌다. 이론적으로는, 투과 증발 공저으이 투과도가 역삼투 공저의 투과도 보다 더 컸음을 알 수 있었다.

Reverse osmosis(RO) and pervaporation(PV) membrane processes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theoretically by using Paul and Ebra-Lima model. From this model the concentrations of liquid within the membrane when pressure was applied to the upper compartment(for PV case, the applied pressure is infinite) were calculated for rubber membrane-n-hexane and rubber membrane-benzene systems. The permeabilities of RO and PV were also calculated and compared for polyethylene film-n- hexane and polyethylene film- benzene systems Theoretically, the permeabilities of PV membrane were greater than those of RO membrane.

저자
  • Rhim Ji Won(한남대 화공과) | 임지원
  • Lee Kew Ho(한국화학연구소 분리소재연구실) | 이규호
  • Bae Seong Youl(한양대 화공과) | 배성렬
  • Robert Y.M. Huang(워터루대 화공과) | 로버트 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