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투과증발법을 이용한 염소계 화합물 수용액의 분리 KCI 등재

Separation of Aqueous Chlorinated Hydrocarbons by Pervapor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422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멤브레인 (Membrane Journal)
한국막학회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초록

본 연구는 독성이 매우 강하여 체내에 미량이 흡수되어도 큰 영향을 미치며, 난분해성 물질로서 재래식 방법으로는 잘 제거가 되지 않고 있는 염소계 유기화학물들인 트리클로로에틸렌(TCE)과 퍼클로로에틸렌(PCE)의 효과적인 분리 제거를 위하여 고분자 복합막을 이용한 투과증발법을 적용하여 검토하여 보았다. 고분자 복합막은 염소계 유기화합물에 대한 선택층으로써 폴리이소부틸렌(PIB), 기계적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지지층으로써 부직포위에 코팅된 다공성 폴리에테르술폰으로 구성되었다. 용해도 파라미터차(Δps)를 구한 결과, TCE 및 PCE에 대한 용해도 파라미터차가 물과의 용해도 파라미터차에 비해 훨씬 작음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폴리이소부틸렌은 염소계 유기화합물에 대한 복합막의 선택층 소재로 사용하기에 적합함을 알 수 있다. 투과증발법을 이용하여 TCE 및 PCE의 분리를 실시한 결과, 폴리이소부틸렌 복합막의 경우 TCE 및 PCE의 선택적 분리에 적합함을 알 수 있으며, TCE 보다 PCE의 선택적 제거에 더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Polysulfone ultrafiltration membrane was coated with polyisobutylene(PIB) as a top layer to separate chlorinated hydrocarbons. The solubility parameter differences between PIB, water and perchloroethylene(PCE) or trichloroethylene(TCE) show that the solubility parameter difference between PIB and TCE or PCE is similar while that between PIB and water is far less, indicating that PIB is selective to chlorinated hydrocarbons. The pervaporation separation of TCE and PCE shows that TCE is concentrated more than four times, by PIB composite membrane, while PCE is concentrated more than thirteen times. This result shows that PIB composite membrane in this study seems to be an appropriate selective layer for the separation of TCE and PCE from aqueous organic solutions.

저자
  • 이영무(한양대학교 공대 공업화학과) | Young Moo Lee
  • 유승민(한라중공업연구소) | Seung-Min Yoo
  • 오부근(삼성중앙연구소, 대전) | Boo-Keun O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