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투과특성의 on-line 측정을 위한 투과장치 KCI 등재

Permeation Apparatus for on-line Measurement of the Permeation Characteristics through Dense Polymeric Membran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428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멤브레인 (Membrane Journal)
한국막학회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초록

비다공성막을 통한 투과성분의 투과속도와 투과 조성을 on-line방식으로 측정할수 있는 장치를 개발하였다. 가교폴리비닐알콜막을 통한 물의 투과증발실험을 행하여 이 장치의 효용성을 확인하였다. 투과증발실험에서 투과가 정상상태에 도달하는데 15분미만의 시간이 걸렸으며 측정을 20분이내에 마칠 수가 있었다. 또한 측정된 투과속도 정확성과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종래의 방법대로 액체질소에 의해 투과물을 일정시간 응축시켜 투과속도를 동시에 측정하여 이를 장치의 record에 표시된 투과속도와 비교한 결과 그 오차가 pm2% 이내로 일치하였다. 측정된 시간에 따른 투과속도 곡선으로 부터 3가지 종류의 확산계수 Dslope, D1/2, Dt를 구하였고 이들이 문헌치와 비교한 결과 비교적 일치함을 보였다. 또한 on-line 방식으로 모든 측정이 이루어지므로 종래 방법, 즉 투과물 응축, 가열, 무게측정과정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실험오차를 줄일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투과특성을 얻을 수가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투과 장치를 사용하여 액체상태의 feed 투과를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 permeation apparatus has been devdoped which could make the on-line measurements of both flux and permeate composition. Pervaporative experiment of a single component, i.e. water was performed by using poly(vinyl alcohol) membrane crosslinked with glutaraldehyde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apparatus. In the experiment, steady-state permeation was obtained in 15 minutes and the measurement could be completed within 20 minutes. A comparison of the on-line measurement was made with the fluxes measured simultaneously by the conventional method in which the permeates were collected by liquid nitrogen. The on-line measurement by the apparatus showed an excellent agreement with the conventional measurement within a difference of pm2%. From the flux data with operating time, 3 kinds of diffusion coefficients of water Dslope, D1/2, and Dt were determined, which were also coincident with values in a literature. It was confirmed that accurate measurements of fluxes could be obtained from the apparatus.

저자
  • 염충균(한국화학연구소,응용화학사업단,화학공정연구센터) | C. K. Yeom
  • 김범식(한국화학연구소,응용화학사업단,화학공정연구센터) | B. S. Kim
  • 김철웅(한국화학연구소,응용화학사업단,화학공정연구센터) | C. U. Kim
  • 김광주(한국화학연구소,응용화학사업단,화학공정연구센터) | K. J. Kim
  • 이정민(한국화학연구소,응용화학사업단,화학공정연구센터) | J. M.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