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염수의 탈염을 위한 전기투석 농축실에서의 스케일 형성 KCI 등재

Scale Formation in the Concentrate Compartment of an Electrodialysis Stack During Desalination of Brackish Water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449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멤브레인 (Membrane Journal)
한국막학회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초록

전기투석 공정에서 이온교환막 표면에 형성되는 스케일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장기간 동안 운전되었다. 탈염공정 동안, Ca2+과 SO42- 이온의 농도는 농축실에서 연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양이온교환막(Neosepta CMX)표면에 침전이 발생하였다. 초기 스케일 형성동안, 공정성능과 막 특성의 변화는 농축실 염농도 증가에 기인하여 일어나는 양이온교환막의 하계전류밀도가 감소하는 것을 제외하곤 미미하였다. 공정운전이 진행됨에 따라 양이온교환막의 한계전류밀도는 물의 해리 현상이 진행되어 300;A/m2까지 감소하였다. 막 오염은 농축실에서 양이온교환막 표면에 형성된 스케일과 물의 해리현상에 의해 유발된다는 결론을 얻었으며, 이러한 스케일 형성은 CaSO4의 용해도에 의해 예측 가능한 것을 알 수 있었다.

An electrodialysis process was operated for a long period to investigate the scale formation on the membrane surface. During the desalination process, concentration of Ca2+ and SO42- ions increased continuously in the concentrate compartment and eventually caused precipitation on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Neosepta CMX) surface. During the initial scale formation, the performance of the process and membrane characteristics did not show significant changes, except the decrease in limiting current density of the CMX membrane occurring due to increase in the salt concentration in the concentrate compartment. Eventually, the limiting current density of the fouled CMX membrane dropped significantly to 300;A/m2 as water dissociation occurred in the CMX membrane. It was concluded that the fouling was caused mainly by the scale formation on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surface in the concentrate and consequent water dissociation. Also the scale formation was reasonably predicted by the solubility of CaSO4.

저자
  • Moon Seung Hyeon(광주과학기술원 환경공학과) | 문승현 주저자
  • Yang Jung Hoon(광주과학기술원 환경공학과) | 양정훈
  • Yeon Kyeong Ho(광주과학기술원 환경공학과) | 연경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