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공사 막을 이용한 급성호흡곤란증후군 환자용 폐 보조 장치의 설계와 평가 KCI 등재

Design and Evaluation of a Lung Assist Device for Patients with Acute Respiratory Syndrome using Hollow Fiber Membran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450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멤브레인 (Membrane Journal)
한국막학회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초록

생체 폐를 대신해서 임시적으로 제공하는 폐 보조 장치(LAD)의 사용은 기계 환기술의 단순화와 체외순환 막형 인공폐의 기능을 결합하여 급성호흡부전 환자에 적합하다. 본 연구에서의 주 관심은 폐 보조 장치에서의 막 진동 효율에 있었으며 정량적인 실험 측정은 혈액 용혈에 대한 막 진동 의존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행하였다. 또, 혈액 용혈은 막 진동이 이루어질 때 한계 용혈의 가진 주파수 대에서 결정하였다. 최대 기체 전달율을 보이는 675의 중공사 막으로 이루어져 있는 유형 5의 가진 주파수에서 최대 진폭의 발생 및 중공사에 진동의 전달에 의해 최대 산소 전달율이 일어났다. 이 주파수가 혈류량에 가동 가능했던 제 2 형태의 공진 주파수가 되어 높은 각 혈류량 비에서 25±5 헤르쯔까지 가진이 되었으며, 혈액 용혈은 25±5 헤르쯔의 가진 주파수에서 상대적으로 낮았다. 따라서 우리는 이 폐 보조 장치의 한계 용혈 주파수가 25±5 헤르쯔인 것으로 결정했다.

The use of the lung assist device (LAD) would be well suited for acute respiratory failure (ARF) patients, combining the simplicity of mechanical ventilation with the ability of extracoporeal membrane oxygenators (ECMO) to provide temporary relief for the natural lungs. This study's specific attention was focused on the effect of membrane vibration in the LAD. Quantitative experimental measurement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device, and to identify membrane vibration dependence on blood hemolysis. We tried to decide upon excited frequency band of limit hemolysis when blood hemolysis came to through a membrane vibration action. The excited frequency of the module type 5, consisted of 675 hollow fiber membranes, showed the maximum gas transfer rate. We concluded that the maximum oxygen transfer rate seemed to be caused by the occurrence of maximum amplitude and the transfer of vibration to hollow fiber membranes. It was excited up to 25±5 Hz at each blood flow rate of module type 5. We found that this frequency became the 2nd mode resonance riequency of the flexible in blood flow. Blood hemolysis was low at the excited frequency of 25±5 Hz. Therefore, we decided that limit hemolysis frequency of this LAD was 25±5 Hz.

저자
  • 이삼철(한려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Lee Sam Cheol 주저자
  • 권오성(전북대학교 신소재공학부) | Kwon O Sung
  • 김호철(경상대학교 의대 내과학교실) | Kim Ho Cheol
  • 황영실(경상대학교 의대 내과학교실) | Hwang Young Sil
  • 이현철(한려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Lee Hyun Che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