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광촉매 공정에 의한 유기물 제거가 나노여과 공정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Investigation of Photocatalytic Process on Removal of Natural Organic Matter in Nanofiltration Process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457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멤브레인 (Membrane Journal)
한국막학회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초록

광촉매 반응이 자연유기물에 의한 나노여과막의 오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광촉매 분해공정은 자연유기물의 분해와 변형에 효율적이었으며 이산화티타늄과 고정화 비드를 광촉매로 사용하였다. 광촉매적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칼슘 이온 존재 시의 휴민산의 광분해를 모델 반응으로 설정하였다. 광분해 전에는 치밀한 막오염층이 형성되어 막오염을 가속화시킨 반면, 광분해 후에는 막오염이 크게 감소하였다.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effect of a photocatalytic reaction on nanofiltration(NF) membrane fouling by natural organic matter(NOM). The photocatalytic degradation was very effective for destruction and transformation of NOM and was carried out by titanium dioxide(TiO2) and TiO2-immobilized bead as a photocatalyst. In order to compare their phtocatalytic properties, the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humic acid in the presence of calcium ion was used as a model reaction. After the photocatalytic degradation the membrane fouling was dramatically decreased.

저자
  • Kew-Ho Lee(한국화학연구원 분리막다기능소재연구센터) | 이규호 주저자
  • In-Hwan Choi(한국화학연구원 분리막다기능소재연구센터, 연세대학교 화학공학과) | 최인환
  • In-Chul Kim(한국화학연구원 분리막다기능소재연구센터) | 김인철
  • Byoung-Ryul Min(연세대학교 화학공학과) | 민병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