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순환식 고분자 분리막 접촉기를 이용한 이산화황 분리 KCI 등재

Separation of Sulfur Dioxide by Circulatory Porous Polymer Membrane Contacto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458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멤브레인 (Membrane Journal)
한국막학회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초록

이산화황 흡수 수용액이 다공성 분리막 접촉기를 연속적으로 순환하는 시스템에서 다양한 운전변수에 따른 이산화황의 분리 효율을 고찰하였다. 공급 기체로는 이산화황/공기 혼합 기체를 사용하였으며 흡수제로는 Na2SO3 수용액을 사용하였다. 운전 변수들인 흡수제 농도와 공급 기체 내의 이산화황 농도, 분리막 재질, 흡수제 유속 변화에 따른 분리 효율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흡수제의 농도 0.05 M에서 0.2 M로 증가할수록 이산화황 제거 효율은 74%에서 100%로 증가하였다. 이산화황 농도가 700 ppm에서 2,500 ppm으로 증가할수록 제거 효율은 100%에서 75%로 감소하였다. 또한 흡수제의 유속이 2.5 mL/min에서 15 mL/min으로 증가할수록 제거 효율은 85%에서 100%로 증가하였고, 분리막은 기공률이 클수록 제거 효율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effects of various system parameter on the absorption of sulfur dioxide into the absorbent liquid were investigated in a circulatory porous polymer membrane contactor. A feed gas and an absorbent used in the study were the gas mixture of air and SO2 and the Na2SO3 aqueous solution, respectively. The separation of sulfur dioxide was measured in terms of the concentration of Na2SO3 absorbent, the concentration of sulfur dioxide, the feed flow rate, the absorbent velocity and the different membrane material. As the concentration of absorbent increased from 0.05 to 0.2 M, the removal efficiency increased from 74 to 100%. By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sulfur dioxide from 700 to 2,500 ppm, the removal efficiency decreased from 100 to 75%. Also as the absorbent velocity increased from 2.5 to 15 mL/min, the removal efficiency increased from 85 to 100%. As the porosity of the membrane increased, the removal efficiency increased.

저자
  • 이형근(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Hyung-Keun Lee
  • 정헌규(충남대학교 화학공학과) | Heon-Kyu Jeong
  • 송인호(충남대학교 화학공학과) | Inho Song
  • 안효성(충남대학교 화학공학과) | Hyoseong Ahn
  • 전현수(충남대학교 화학공학과) | Hyunsoo Jeon
  • 이용택(충남대학교 화학공학과) | Yongtaek Lee 주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