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벤토나이트 현탁액에 의한 정밀여과 막의 오염특성 KCI 등재

Fouling Behavior of Bentonite Colloidal Suspensions in Microfiltr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459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멤브레인 (Membrane Journal)
한국막학회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초록

벤토나이트 현탁액에 의한 폴리에틸렌 정밀여과 모세관 막의 오염특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막오염의 윈인은 막표면 위에서 생성되는 케익층의 성장과 입자들이 세공을 막는 표준 및 완전세공막힘 때문이었으며, 막오염은 이들 세 가지 오염형태가 동시에 발생하지만 케익여과오염에 의해 크게 지배를 받는다. 운전압력 1.0kg/cm2에서 총 막오염에 대한 성분오염의 비율은 표준세공막힘 3.36%, 완전세공막힘 3.18% 그리고 케익여과오염 93.46%이었다. 현탁액의 농도가 1000 ppm인 경우에는 완전세공막힘 1.71%, 표준세공막힘 1.90% 그리고 케익여과오염이 96.39%이었으며, 운전초기에 총 오염의 96.14%가 발생했다. 총 오염에 대한 케익여과의 영향은 세공이 0.34 μm막에서 컸다. 순환흐름속도의 증가로 인해 성분오염은 약 10.20% 감소하였고, 총 오염에 대한 세공막힘의 비율은 높았다.

Fouling behavior of polyethylene capillary membranes was examined by measuring the flux of bentonite colloidal suspensions through the cross flow micro filtration. The membrane fouling was due to the three mechanisms: the cake formation on the membrane surface, the standard pore blocking and the complete pore blocking by particles. These mechanisms were simultaneously responsible for the membrane fouling, being significantly governed by the cake filtration. In the total fouling at 1.0kg/cm2 TMP condition, the complete blocking was 3.36%, the standard blocking 3.18% and the cake filtration 96.05%. For 1000 ppm feed solution, the complete blocking was 1.71% compared with the standard blocking of 1.90% and the cake filtration of 96.39%. And 96.14% of the total fouling was generated at the initial period of filtration. The cake filtration effect was larger on 0.34 μm pore membrane than on 0.24 μm pore membrane. With the increase in cross flow velocity, the component fouling decreased by 10.20%, and the ratio of pore blocking to total fouling increased.

저자
  • 남석태(경일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 Nam Suk-Tae 주저자
  • 한명진(경일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 Han Myeong-J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