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세라믹 정밀여과에 의한 고도정수처리 시스템에서 물 역세척 시간 및 주기의 영향 KCI 등재

Effect of Water-back-flushing Time and Period in Advanced Water Treatment System by Ceramic Microfiltr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460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멤브레인 (Membrane Journal)
한국막학회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초록

본 연구에서 처리수를 이용한 주기적인 역세척은 세라믹 정밀여과에 의한 고도정수처리 시스템에서 막오염을 저감하고 투과선속을 향상시키고자 수행되었으며, 물 역세척 주기(FT) 및 시간(BT)의 영향과 최적 운전조건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FT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일정한 BT 3초에서 FT를 30∼120초로 변화시켰고, BT 영향 실험에서 일정한 FT 120초에서 BT를 3∼12초로 변화시켰다. 그리고 다른 운전변수인 막간압력차는 1.52 bar, 물 역세척 압력 0.98 bar, 유입유량 0.5 L/min, 공급액의 온도 20℃로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그 결과, 일정한 BT 3초에서 본 실험 범위의 최적 FT는 30초로, 이것은 빈번한 역세척이 막오염의 저감에 더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그러나 너무 짧은 BT로 인하여 FT의 영향은 크지 않았다. 한편, 일정한 FT 120초에서 BT가 증가함에 따라 막오염에 의한 저항(Rf)은 감소하고 투과선속(J)과 무차원화한 투과선속 (J/Jo)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최대 BT인 12초에서 가장 많은 총여과부피(VT)를 얻을 수 있었다.

In this study, periodic water-back-flushing using permeate water was performed to minimize membrane fouling and to enhance permeate flux in advanced water treatment system by ceramic microfiltration. We investigated effect of water-back-flushing period (FT) and time (BT), and tried to find the optimal operating conditions. BT was fixed at 3 sec and FT was changed in 30∼120 sec to inspect effect of FT. Also, FT was fixed at 120 sec and BT was changed as 3∼12 sec at experiment of BT effect. At both two experiments, TMP was fixed at 1.52 bar, water-back-flushing pressure at 0.98 bar, feed flow rate at 0.5 L/min, and feed water temperature at 20℃. As the result, optimal FT was 30 sec at fixed BT 3 sec in our experimental range. It means that the more frequent back-flushing was the more effective to reduce membrane fouling. However, there were not large effects of FT due to a short BT. Then, increasing BT at fixed FT 120 sec could decrease resistance of membrane fouling (Rf) and increase permeate flux (J) and dimensionless permeate flux (J/Jo), and the most total permeate volume (VT) could be produced at the maximum BT 12 sec.

저자
  • 박진용(한림대학교 환경생명공학과) | Jin Yong Park 주저자
  • 이혁찬(한림대학교 환경생명공학과) | Hyuk Chan Lee
  • 조재형(한림대학교 환경생명공학과) | Jae Hyeong C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