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셀룰로오스 계 고분자를 이용한 정삼투막의 제조 및 특성 KCI 등재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ellulosic Forward Osmosis Membran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470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멤브레인 (Membrane Journal)
한국막학회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셀룰로오스 계 고분자를 이용한 정삼투(FO) 막을 제조하고 각각의 고분자 및 첨가제에 따른 성능의 차이를 평가하는 것이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CA)와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CTA)를 기반으로 상전환법을 통하여 정삼투막을 제조하고 가압조건과 정삼투 조건하에서 투과유량 및 염제거율을 비교하였다. CA 정삼투막은 용매의 증발 및 annealing 수행 시간에 따라 막의 성능의 변화가 발생하였으며, CTA 정삼투막의 경우에는 annealing보다는 첨가제를 활용하여 성능의 향상을 이끌어낼 수 있었다. 또한 CTA 정삼투막의 정삼투 투과유량은 4.46 L/m2hr였으나 CA/CTA 정삼투막의 경우에는 8.89 L/m2hr로, 단일 고분자를 사용하기 보다는 CTA에 CA를 혼합하여 막을 제조하는 것이 정삼투 투과유량 증가에 보다 효율적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forward osmosis (FO) membranes using a variety of cellulose-based polymers an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difference depending on each of the polymers and additives. Forward osmosis membranes based on cellulose acetate (CA) and cellulose triacetate (CTA) were prepared through phase inversion. The performance of FO membranes developed, such as flux and salt rejection, was compared under the osmotically- and pressure-driven conditions. In CA FO membranes, the execution time of solvent evaporation and membrane annealing induced the change in membrane performance. But the performance of CTA FO membrane was improved by using additives rather than annealing. Moreover, the flux of CTA FO membrane was 4.46 L/m2hr but that of CA/CTA FO membrane was 8.89 L/m2hr in FO mode. The CTA FO membrane with blending CA was more efficient to increase FO permeate flow rather than using a single polymer membrane.

저자
  • 정보름(한국화학연구원 환경자원연구센터, 연세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 Bo-Reum Jeong
  • 김종학(연세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 Jong-Hak Kim
  • 김범식(한국화학연구원 환경자원연구센터) | Beom-Sik Kim
  • 박유인(한국화학연구원 환경자원연구센터) | Yoo-In Park
  • 송두현(한국화학연구원 환경자원연구센터) | Du-Hyun Song
  • 김인철(한국화학연구원 환경자원연구센터) | In-Chul Kim 주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