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MEA 수용액으로부터 PDMS-PE 복합막 접촉기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감압탈거 KCI 등재

Vacuum Stripping of CO2 from Aqueous MEA Solutions Using PDMS-PE Composite Membrane Contacto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476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멤브레인 (Membrane Journal)
한국막학회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석탄 화력발전소의 연소 후 CO2 회수 기술인 알칸올 아민 수용액을 이용한 아민흡수법에서 전체 운전비의 80% 가량을 차지하는 탈거에너지의 저감을 위해 새로운 탈거기술인 분리막을 이용한 감압탈거 기술을 제시하고자 한다. 막의 소재로는 소수성막인 PE (polyethylene)를 지지체로 하고 5mum 두께의 PDMS (polydimethylsiloxane)를 코팅한 복합막을 제조하여 적용하였으며, 흡수액으로 MEA (monoethanolamine) 30 wt% 수용액을 사용하였다. 온도의 변화에 따른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흡수액 온도를 25~80℃로 변화시켜 이산화탄소의 탈거특성을 살펴보았으며, 흡수용액의 CO2 함량(CO2 loading)에 따른 영향을 고찰하기 위하여 CO2 함량을 변화시켰다. 또한 감압탈거 시 탈거측 압력을 60~360 mmHg(abs.)로 변화시켜 진공도에 따른 탈거특성을 연구하였다. 아민수용액의 온도가 증가할수록, 이산화탄소 부하량이 증가할수록 이산화탄소의 탈거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감압이 감소함에 따라 이산화탄소의 탈거량 역시 증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막의 안정성 실험 결과 PTFE 단일막에 비하여 PDMS-PE 복합막의 경우 감압탈거 막공정에 적용하기 안정한 막이라고 판단된다.

Low-temperature carbon dioxide stripping by a vacuum membrane stripping technology was studied as a substitute for the stripping process in a conventional aqueous amine process. Composite membranes with 5mum thickness of PDMS (polydimethylsiloxane) dense layer on a PE (polyethylene) support layer were prepared by a casting method and used as a membrane contactor for CO2 stripping. Aqueous amine solutions of 30 wt% MEA (monoethanolamine) were used as absorbents. CO2 flux was examined under various operating conditions by varying the vacuum pressure (60~360 mmHg (abs.)), stripping temperature (25~80℃), CO2 loading (0.5~0.7). CO2 stripping flux in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and CO2 loading as well as decreasing vacuum pressure. PDMS-PE composite membrane has stability for vacuum stripping process compared with PTFE porous membrane.

저자
  • 김정훈(한국화학연구원 환경자원연구센터 자원분리회수그룹,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청정화학 및 생물학) | Jeonghoon Kim
  • 안효성(한국화학연구원 환경자원연구센터 자원분리회수그룹) | Hyoseong Ahn
  • 김정훈(한국화학연구원 환경자원연구센터 자원분리회수그룹) | Jeong-Hoon Kim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