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다공막 주형에 의한 전도성 고분자 나노와이어의 합성 KCI 등재

Synthesis of Conductive Polymer Nano-wires by Porous Membrane Templat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477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멤브레인 (Membrane Journal)
한국막학회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초록

양극산화 알루미나(AAO)막의 나노 사이즈 미세공(세공 크기 20 nm, 10 nm 및 200 nm)을 주형으로 사용하여 전도성 고분자인 폴리피롤, 폴리아닐린 중합체 및 폴리피롤/폴리아닐린 공중합체 나노와이어를 제조하였다. 미세공 주형 내에서 전도성 고분자의 성장은 세공의 벽면을 따라 튜브 형태로서 성장하였으며, 3시간 이후에는 내부가 완전히 채워진 나노와이어가 형성되었다. AAO 막을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퍼리하여 세공 내에 형성된 전도성 고분자 나노와이어를 회수 하였으며. 회수된 나노와이어 직경과 길이는 주형 막의 세공 형상과 일치하였다. 통상의 용액 중합법으로 제조된 전도성 고분자 분말과 비교하여 주형 합성법으로 제조된 전도성 고분자 나노와이어는 결정성과 열적 안정성이 향상되었으며, 전기 저항은 4~60% 감소하였다.

We prepared the highly ordered nano-wires of polypyrrole, polyaniline conductive polymers and polypyrrole/ polyaniline conductive copolymers by templating the anodic aluminum oxide (AAO) porous membrane, in which pore diameter was 20 nm, 100 nm and 200 nm. Those conductive polymers were grown from pore inner surface of AAO membrane forming hollow tubes and then wire structures were formed after 3 hour polymerization. By removing AAO membrane templates using sodium hydroxide solution, the conductive polymer nano-wires were successfully obtained, of which diameter and length were close to the ones of nano-pores in AAO membrane template. Crystallinity and thermal stability of the conductive polymer nano-wires were higher than irregular ones that prepared by solution polymerization. Furthermore, the electrical resistance of conductive polymer nano-wires were reduced by about 4~60% compared with that of the irregular polymers prepared by solution polymerization.

저자
  • 염경호(충북대학교 공과대학 공업화학과) | Kyung-Ho Youm 교신저자
  • 신화섭(충북대학교 공과대학 공업화학과) | Hwa-Sup Shin